카테고리 없음

자치단체 혁신전략

현곡 이종수 2007. 5. 7. 17:05

< 자치단체 특강용, 2007. 3. 28 >

21世紀 行政組織文化 革新戰略

이종수(중앙대 행정대학원 연구교수)

(현)한국지방자치학회 이사

(전) 한국행정학회 상임이사

(전)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지방행정 주제집필위원

연락처 : 016-9292-4329

ljsjs4329@hanmail.net; ljsjs4329@naver.com

Ⅰ. 序 論

1. 변화와 혁신의 시대 :

- Post-modern society, 3F(Feeling, Female, Fiction) 3D(Digital, DNA, Design), GNR(Genome, Nano-science, Robot engineering)

-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잭 웰치

- 혁신의 목적 : 결과와 고객중심지향

- 방법 : 목표의 평가를 통한 혁신

2. 혁신의 토대 : 행태변화기제로서의 조직문화의 변동

- 조직이 변화하려면 제도와 시스템에 바뀌어야 하고, 제도와 시스템이 변화하려면 조직의 생각과 문화, 곧 조직문화가 바뀌어야 함.

3. 조직문화 혁신의 주체와 顧客觀의 변모

- 각 조직체 구성원

- 고객개념의 변화, 직무의 목적과 봉사대상으로서의 고객관 정립

- “고객은 우리가 일을 하는 目的임. 고객이 우리에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고객에게 依存, 그가 우리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기회를 줌으로써 우리가 惠澤을 누림, 고객이 자신의 요구시 그 요구를 고객과 우리 자신에게 이롭게 해결하는 것이 우리의 任務임.(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 2006 : 57)

4. 혁신의 수단 : 혁신학습과 혁신문화의 내재화와 혁신의 일상화

Ⅱ. 행정조직문화의 이론적 배경

1. 행정조직문화의 의의

가. 개념

- 組織文化(Organizational Culture)란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생활양식이나 행동양식의 총체임.(오석홍, 2004 : 248 ; 이종수, 2006)

- 조직문화는 물고기(구성원)가 사는 물과 같음.

나. 특성

1) 사고와 행동의 결정요인 2) 역사적 산물 3) 집합체적 성격 4) 통합성 5) 안정성 6) 사회문화의 하위문화

다. 기능

1) 사고와 행동의 기준 제시 2) 욕구의 통제 3) 일탈행위 규제 4) 일체감 조성 5) 안정성 유지

라. 구성요소

1) 인위구조(가시적인 언어, 행동, 태도, 양식 등)

2) 가치와 신념

3) 잠재적인 가치의 근원적 전제

2. 행정조직문화연구의 중요성

가. 조직인의 행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의 이해가 전제되어야함.

나.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의 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줌.

다. 조직현실을 진단하고 처방하려면 조직문화 이해가 필수점임.

라. 조직이론을 특정조직에 적용하려면 당해조직의 문화적 특성을 사전에 파악해야 함.(이종수, 2007 ; 김호섭외, 2002 : 397)

3. 연구배경

- 1960년대 비교행정론과 1970년대 비교조직론 등에서 영향.

- 1980년내 전후 일본의 Theory Z(W.Ouchi, 1982)

4. 이론적 측면

- 1980년대 이후 조직구조나 기술 외에도 개별구성원들의 가치, 선호 등에 대한 분석 필요성이 대두되고, 개별적인 면접, 관찰 등을 통한 간주관적 접근필요성 대두.

5. 행정조직문화의 부정적, 긍적적 측면

가. 부정적 측면

1) 권위주의와 기여점과 폐단

- 위계질서 확립 : 기강확립 : 독단주의, 과잉충성(오석홍, 2001 : 183-189)

2) 연고주의 〃

- 학연과 직연 등 : 가족적, 친화적 분위기 : 파벌, 할거주의, 불공정성

3) 형식주의 〃

- 외형의 중시, 비현실적 법규 : 행정의 명분강화 : 형식과 절차의 중시

4) 순응주의 〃

- 맹종과 순응 : 조직안정화 : 능동성과 자율성 약화

5) 온정주의 〃

- 감정적 유대관계중시 : 작업집단의 응집성 강화 : 불공정과 비합리성,부패

6) 일반능력주의 〃

- 일반교양의 중시 : 인사운영의 융통성 : 행정전문화 경시

나. 긍정적 측면

1) 위민사상 : 홍익인간

2) 선비존중의 가치관 : 학문숭상

3) 충효사상 : 충효의 중시

4) 집단의 중시 : 집합체주의

5) 정신가치의 중시 : 예절과 도덕성 강조

6) 청백리 가치관 : 근검절약

Ⅲ. 행정조직문화의 내, 외적 구성요인

1. 외적 요인

가. 특정국가의 전통, 역사, 종교, 제도, 관습 등

김호섭외, 2002 : 413

나. 사회환경이나 고객의 요구

다. 기술의 발전

라. 정부의 규제 정도 등

2. 내적 요인

가. 조직의 이념이나 기본가치

이종수, 2006 ; 2007

나. 조직의 전략과 관리체계

다. 조직원의 사회적 배경(학력, 연령, 성별, 종교 등)

라. 조직의 역사와 규모

마. 조직의 구조나 계층의 수

Ⅲ. 행정조직문화의 형성과 변동

1. 행정조직문화의 형성

- 창업자의 조직창업시 생성, 내외부의 압력에 저항, 여과, 과오회피하며 변모(김호섭외, 2002 : 422 ; 오석홍, 2004 : 255

2. 변동하는 조직문화의 부정적, 긍정적 주요 내용

가. 부정적 변동

- 배금주의, 이기주의, 향락주의, 근시안적 사고 등임.(오석홍, 2001 : 191)

나. 긍정적 측면

- 민주주의 사상, 인권존중, 과학주의, 실용주의, 개척정신, 보편주의, 평등주의, 생산성 중시의 능률주의 등임.(오석홍, 2001 : 190)

3. 조직문화의 전달과 계승

가. 선발 : 조직규범, 비전에 부합하는 직원의 선발

나. 교육훈련 : 공식적, 체계적 학습

- 행정자치부 정부혁신본부(2005 : 73) “사례” 소개

- 공정위, ‘토요학습의 날’ ; 조달청, ‘혁신나르미 방(토론문화)’

다. 조직사회화 : 각 구성원의 조직문화 학습과 정응과정, 자신의 위치와 역할, 구성원간 유사행동 지향 및 의사소통 장애 극복 등

라. 보상시스템 : 성과에 대한 보상과 일탈에 대한 징계르 f통해 바람직한 조직문화의 유지와 관리

Ⅳ. 새로운 행정조직문화 혁신전략

1. 조직문화의 위기진단과 혁신

가. 위기의식

- 공공기관은 절대적인 ‘철밥통’ 인가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 2006 : 27)

나. 대응의 방향

1) 성과주의 : 투입에 대한 산출의 제고, 능률성과 효과성

2) 고객중심 : 고객만족의 지향

3) 공정평가 : 실적에 의한 평가

4) 투 명 화 : 행정과정의 투명성

2. 혁신의 의의

가. 조직혁신의 개념

“혁신이란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출과 그 아이디어의 실용화”(Thompson, 1965)로서 조직의 변화능력과 대응능력을 강조함. 따라서 “조직혁신이란 조직은 어느 한 상태에서 보다 나은 상태로 변동시키고자 하는 의식적이고, 동태적인 연관적 특성을 가진 변동이며, 저항이 따르는 지속적 과정”임(박상관, 1996 : 6-7).

나. 유사개념

1) 혁신(Innovation) : 행태면의 변화. 변화의 바람직한 방향의 설정과 그 방향으로의 의도적인 노력

2) 개혁(Reform) : 제도적인 변화에 중점, Ex. 행정개혁

3) 변화(Change) : 객관적, 중립적 개념

다. 관리혁신 : 조직과정의 혁신

- 관리혁신은 구조중심과 인간중심으로 구분되며, 구조혁신은 조직,인사, 보상 등의 혁신으로 인간혁신은 구성원의 행태, 능력, 기대 등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입하여 실용화함에 있음. 이처럼 관리혁신은 주로 구조개편과 조직행태 개선에 중점이 있음.

3. 조직문화 혁신(재정립)의 필요성

조직문화를 특정조직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의 총체라고 본다면 이러한 문화는 기능적 측면에서 안정성, 계속성, 통제, 통합과 단결, 정체성 부여

그러나 21 국내외적 정치, 경제 환경변화에 대응함에 있어 기존의 조직문화적 특성들, 곧 인화중시, 온정주의, 권위주의 등의 경직적 문화는 변화대응에 부정적임.

유연성과 창의성이 요구되는 21세기 세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조직내부는 물론 외부조직과의 적극적인 협력과 선의의 경쟁이 요구됨.

따라서 자율성, 의사소통, 기술과 인력개발의 중시, 개방과 평등의식, 실질과 효율성 중시, 자율과 창의, 진취적, 변화지향적인 조직문화가 개발되어야

기존의 조직문화가 성장과 발전의 제약요소로 작용할 때에는 조직의 구조나 기능과 같은 공식적 요소들의 변경보다 조직문화 개발이 바람직함.(김호섭외 : 424-425)

4. 조직문화 변동 단계

가. 위기감 조성(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 2006 : 95)

나. 강력한 변화추진팀구성

다. 비전창조

라. 비전전파

마. 권한위임

바. 단기성과 위한 계획 수립과 실천

사. 성과통합 후 후속변화 창출

아. 새로운 행태의 제도와와 조직문화 정착

5. 조직변화 5가지 핵심전략

가. 변화의 동기부여 : 구성원이 변화를 원하고, 필요하다고 믿도록 유도

나. 비전 창출 : 행동에 활력을 넣을 수 있는 가시적 목표 설정, 신념유발

다. 정치적 지원 : 성공적 지원을 제공할 지원자 확보

라. 이행관리 : 주요인물, 집단 지지, 특별관리팀 확보

마. 변화의 추진력 유지 : 혁신을 위한 재원, 기술, 추진주체 지원체제 구축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 2006 : 89)

6. 조직혁신시 고려사항

가. 비전 : 조직에너지의 집결(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 2006 : 90)

나. 조직개편이나 통폐합(M&A) : 문화충돌의 관리

다. 리더십

- 조직혁신은 고통과 변신의 연속과정으로서 혁신지향적 리더십이 요구됨. 혁신적 리더의 특성(Loy, 1969 : 73)은 1) 모험성 2) 진문직업상의 지위 3) 상상력 4) 교육정도 5) 지배성 6) 사교성 7) 세계성 등을 요구함.

- 리더의 지속적 관리관 지원의 필요성

라. 교육 : 지식혁신 성장단계 모형

1) 인지단계

2) 인프라구축단계

3) 표현저장단계

4) 이전 및 공유단계

5) 통합적 활용단계

6) 창출단계

마. 동기부여 : 성과의 보상과 칭찬, 격려 등과 상벌의 공정성

바. 상징 : 문화정착의 수단으로 구두상징(신화, 전설, 표어, 구호, 방침 등), 행동상징(기념식, 시상식, 커피타임, 체조, 명상시간 등), 물적상징(마크, 유니폼, 로고, 건물 등) 등의 적절한 활용

Ⅴ. 변동의 개입과 행정조직문화 혁신의 방향

- 한국조직문화에 적합한 행정서비스와 행정만족도 질 제고를 위한 혁신방향이 모색되어야 함.

1. 행정조직문화 혁신의 기본방향

- 국민중심주의, 인간주의, 임무중심주의, 보편주의, 적응성과 장기적 안목, 협동주의, 정직성과 청렴성, 과학주의 등(오석홍, 2001 : 192-193 )

2. 조직문화 혁신의 방향

가. 세계적 지향문화(김호섭외, 2002 : 431)

나. 정보통신지향문화

다. 생산성지향문화

라. 인간중심적 조직문화(한국적 특성)

마. 전통지향적 문화(한국적 특성)

3. 남은 과제들

가. 각 개별지방행정조직의 조직문화적 특성진단

- 정확한 진단과 평가 속에 21세기 주요 트랜드 및 지역트랜드에 대응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의 유연성, 창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조직문화 재정립

나. 변화의 방향

1) 발전목표의 주체적 설정과 평가를 통한 상시적 혁신제도 구축

2) 심층문화 측정도구의 개발

3) 상시혁신일상화 문화 확산 : 체계적, 장기적인 혁신구상과 적절한 추진체계 구축

4) 고객중심주의문화 확산

5) 참여의 제고 : 아래로부터의 자발적 참여 유도, 저항의 감소책(혁신의 방법과 절차, 불안감 감소, 성과 의문시 등에 대한 설득 등)

6) 혁신리더십 창출 : 지도자의 의지와 지원

자치단체 행정문화 혁신방향(특강용).hwp
0.0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