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리더십과 權力의 類型
이종수(중앙대 행정대학원)
제1절 권력의 의의
1. 권력의 개념
플라톤은 권력을 “어떤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ability)"으로 파악하였으며, 토마스 홉스는 ”권력이란 미래의 선을 실현하기 위한 현재의 수단“이라고 설파하였다. 한편 막스 베버는 “권력(Power)이란 상대방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특정인(개인, 집단, 조직, 국가 등)의 의사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이나 영향력”이라고 하였다. 여기에서는 베버의 개념을 채택한다.
이러한 권력은 개인이나 집단이 소유할 수 있는가에 따라 실체(substance)로 파악하는 관점과 인간과 인간, 집단과 집단간의 관계로 파악하는 관계적 측면(Relationship)으로 구분할 수 있다.(신정현, 1996 : 327)
전자는 권력을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로 간주하며, 전제적 지도자들의 전유물로 나타나고, 후자는 민주주의나 다원주의 형태로 파악된다.
2. 權力의 手段
권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으로는 상징, 폭력, 재화, 관행, 합법성, 설득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몇 가지 일반적인 유형을 소개한다.
가. 당근과 채찍
피지배자들이 비교적 순종적인 경우 지배자는 사회경제적 혜택이나 물질적 보상등의 ‘당근’ 정책을 펼치는 반면, 저항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을 보일 경우 ‘채찍’ 정책의 방법으로 합법적인 폭력이나 강제력을 통하여 복종을 끌어 내고자 한다.
나. 說得과 强制
지배층은 보통 정치과정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제고하기 위하여 홍보, 선전, 교육, 대중 연설, 정책 토론을 통하여 대중을 설득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득이 작동되지 못할 경우 지배층은 강제수단을 사용하는 데, 그 방법으로는 1) 가치박탈 2) 심리적 폭력 3) 물리적 폭력 등이 있다. 가치박탈은 파면, 과제, 명예 박탈 등이 심리적 폭력은 위협이나 협박을, 물리적 폭력은 경찰이나 군대 등을 동원하여 신체적 고통을 입하는 것이다.
다. 象徵 操作(Symbols)
상징이란 지배층이 의도한 바를 표현하는 것으로 피치자들에게 의식, 무의식적으로 전달되어 그들의 동조를 이끌어내는 수단이다. 이러한 수단은 인간의 심성(心性)에 각인되는 미란다와 인간의 지성(知性)에 바탕을 둔 크레덴다로 구분된다.
1) 미란다(Miranda)
미란다는 권력자의 리더십 등을 미화시키거나 신성화시켜 피치자들이 지배층을 존경, 숭배하도록 유인하는 수단이다. 그 상징물로는 1) 각종의 기념일 2) 공공장소나 기념사 3) 음악과 노래, 동상, 기념식 등을 들 수 있다.
2) 크레덴다(Credenda)
크레덴다는 인간의 이성적 측면에 바탕을 두고, 정부나 정치권력에 대하여 합리적인 판단과 일정한 신념체계를 형성시키고자 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1) 정부에 대한 경의(敬意) 2) 복종 3) 희생 4) 합법성의 독점 등이 그것 들이다.
제2절 권력의 유형
권력의 유형을 7가지로 구분(French & Raven, 1959 ; 신응섭외 : 54)하면, 보상권력, 강제 권력, 합법적 권력, 전문성 권력, 준거 권력, 배경 권력 및 정보 권력 등이다. 이를 분설한다.
1. 권력의 유형
가. 보상 권력
대상인물이 행위자에 의해 통제된다고 믿는 보상을 얻기 위해 따른다. 돈이나 상 등을 예로 들 수 있다.(French & Raven, 1959 ; 신응섭외 : 54)
나. 강제 권력
대상인물이 행위자에 의해 통제된다고 믿는 처벌을 피하기 위해 따른다. 처벌의 시행이나 보상의 억제 등이 그것이다.
다. 합법적 권력
대상인물이 행위자가 요구할 권리가 있고, 그를 따를 의무가 있다고 믿기 때문에 따른다. 직권이나 제도적 근거에 연유한다.
라. 전문성 권력
대상인물이 행위자가 일을 하는 최선의 방법에 관한 특수한 지식을 갖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따른다. 학위나 전문성에 연유한다.
마. 준거 권력
대상인물이 행위자를 찬양하거나 동일시하며 그의 인정을 받기 원하기 때문에 따른다. 우정이나 상관에 대한 충성 등으로 나타난다.
바. 배경 권력
대상인물이 행위자가 유력인사와 연결되어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기 때문에 따른다.
사. 정보 권력
대상인물이 자신이 갖지 못한 정보를 보우하거나 통제한다는 믿음이나 의존성 때문에 따른다.
2. 리더십과 권력의 근원
권력의 근원은 대체로 합법성, 자원에 대한 통제, 전문성, 사회적 관계, 개인적 특성을 들 거나 혹은 재산, 외모, 인성, 직책, 행동, 지식 등 및 리더의 유효한 자원들, 부하의 의존성, 부하들에 대한 대안적 유용성의 세 가지 상호의존적인 속성을 고려하여 연구해야 한다.(신응섭외 : 55) 조직에서의 권력의 근원은 첫째, 직책권력과 둘째, 개인적 권력으로 나눌 수 있다.
가. 직책권력
먼저 직책권력은 공식적 권한, 자원과 보상에 대한 통제, 처벌에 대한 통제, 정보에 대한 통제 및 생태학적 통제 등이다.
1) 공식적 권한
공식적 권한은 합법적 권력이다. 예컨대 자치단체장의 경우 인사권, 예산 편성권, 인, 허가권, 지도, 단속권, 조례의 발의 및 규칙제정권 등이 그것들이다.
2) 자원과 보상에 대한 통제
보상권력은 보통 공식적 권한에서 비롯되며, 자원에 대한 통제력 뿐 만 아니라 요구나 임무가 실행 가능한 것이고 실행할 경우 실제 약속된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부하 또는 대상인물의 지각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보상이나 승진에 대한 영향 등이다.
3) 처벌에 대한 통제(강제)
이것은 처벌에 대한 통제와 원하는 보상을 받지 못하게 막을 수 있는 통제이다. 군대나 정치지도자들의 강제 권력은 일반 조직보다 강하다. 물론 부하들의 강제대응권력 형태도 있다.
4) 정보에 대한 통제
정보통제는 중요한 정보에 대한 한 개인의 접근과 타인에게 정보를 분배할 수 있는 통제력이다.
나. 개인적 권력
1) 전문성
조직 내 개인권력의 중요한 근원은 문제해결과 중요한 과업의 수행에서 발휘되는 개인의 전문성이다. 예컨대 특수한 지식이나 기술, 학위 등이다. 전문성은 문제해결의 실마리, 자문, 조언 등으로 의뢰자를 도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우정이나 충성심
강력한 정서적 유대감은 또 다른 권력의 근원이다. 영향력을 가진 인물의 마음에 들고 싶어 하는 것은 기본적 욕구이다. 이런 형태의 권력을 준거권력이라 한다. 리더와 부하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준거권력은 보통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며, 우정과 충성의 형태로 나타난다.
3) 카리스마
부하들은 대체로 카리스마적 리더에게 동일시하며, 그 리더에게 강한 정서적 매력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리스마(Charisma))는 개인적 매력, 설득력 있는 연설, 강한 열정 및 확신 등을 특성을 말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카리스마적 리더를 실제보다 신비스럽게 만들어 준다.
3. 리더권력과 사용 결과
가. 효과적인 권력
가장 효과적인 개인적 권력의 형태는 자타가 인정하는 리더의 능력에 바탕을 둔 전문성과 개인적 자질에 바탕을 둔 리더의 매력, 리더가 부하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면서 공정하고 사려 깊은 방식으로 그들을 취급하는 가운데서 오는 만족의 교환관계라는 점이다.(신응섭외 : 69)
나. 권력유형과 사용결과
리더의 직책권력과 개인적 권력은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부하들의 행동은 참여, 응종 또는 저항 등으로 달라진다.(< 표 1 > 참조)
< 표 1 > 리더권력유형과 사용 결과
리더권력 유형
|
결과의 유형 | |||
參與 Commitment |
應從(服從) Compliance |
抵抗 Resistance | ||
직책 권력 |
강제권력 |
- 가능성 거의 없음 |
- 가능성 있음 처벌함 없이 도와주는 경우 |
- 가능성 큼 적대적, 조작적인 경우 |
보상권력 |
- 가능성 있음 개인적으로 사용할 경우 |
- 가능성 큼 기계적, 공평하게 사용 시 |
- 가능성 있음 조직적, 오만하게 사용될 경우 | |
합법적 권력 |
- 가능성 있음 요구가 정중하고 적절한 것일 경우 |
- 가능성 큼 리더의 요구나 명령이 합법적인 것으로 여길 경우 |
- 가능성 있음 거만한 요구나, 요구가 비적절할 경우 | |
개인 권력 |
전문성권력 |
- 가능성 큼 리더의 요구가 설득력이 있고 부하들과 리더의 과업목표가 동일할 경우 |
- 가능성 있음 리더의 요구가 설득력이 있지만 부하들이 과업목표에 냉담할 경우 |
- 가능성 있음 리더가 거만하고, 무례하거나, 부하들이 과업목표에 반대할 겨우 |
준거권력 |
- 가능성 큼 리더의 요구가 리더에게 중요한 것이라고 믿어질 경우 |
- 가능성 있음 리더의 요구가 리더에게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지각될 경우 |
- 가능성 있음 리더의 요구가 리더에게 해를 미치게 되는 것일 경우 |
출처 : 신응섭외(69)
4. 영향력 책략 9가지
영향력 책략이란 대상인물의 태도, 의견 또는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리더들이 사용하는 실제적인 행동이다.(신응섭외 : 70-71)
가. 합법화 책략
합법적 책략(legitimizing tactics)은 조직에서 가장 보편적인 제도적 정당성에 기인한다. 리더가 그의 직위나 권한을 근거로 하여 어떤 요구를 할 때 발생한다.
나. 합리적 설득
합리적 설득(rational persuasion)은 타인에게 영향력을 미치기 위하여 논리적 주장이나 실제적인 증거를 활용할 때 나타난다. 리더가 부하들의 욕구나 목적 달성에 있어 어떤 행동과 태도가 최선인가를 확신시킬 때 발생한다.
다. 영감적 호소
영감적 호소(inspiration appeals)는 대상인물의 감정이나 열광을 유발시키도록 고안된 요구나 제안을 할 때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은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 및 이상에 호소해야 하며, 가치와 신념에 대한 통찰력과 설득력이 필요하다.
라. 협의
협의(consultation)는 행위자가 상대방에게 어떤 활동계획에 참여하도록 요청할 때 발생된다. 예컨대 성직자가 새로운 교회 증축문제를 신도위원회를 신설하여 접근할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마. 비위맞추기
비위맞추기(ingratiation)란 행위자가 요구를 하기 전에 상대방을 위해 최선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바. 개인적 호소
개인적 호소(personal appeals)는 상대방과의 개인적 관계나 우정 등에 호소하여 요청을 들어 주도록 하는 접근이다.(지연, 혈연, 학연 등 연고주의)
사. 교환
교환(exchange)은 상호 필요한 것을 맞교환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아. 연립전략
연립전략(coalition tactics)은 행위자가 상대방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 타인의 지지나 도움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협의와 다르다.
자. 압력 책략
압력책략(pressure tactics)은 상대방에게 끈임 없는 위협이나 독촉을 통해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