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유시티 공공서비스 만족도 분석

현곡 이종수 2009. 9. 2. 19:38

본 논문은 2009년 8월 학술지게재 논문이며, 강의용 탑재본임. 무단 인용을 금함.

유시티(u-City) 공공서비스 만족도 분석

- 화성시 동탄동의 유서비스를 중심으로 -

 

이종수(중앙대 행정대학원)

 

Ⅰ. 들어가는 글

 

2009년 현재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50여개의 유시티(u-City, 이하 유시티)를 건설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앞으로 더욱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이미 유시티 건설성공 모델은 외국에 수출하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는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어 유시티의 편리성, 쾌적성, 방범, 방재효과 등이 입증되고, 거주 만족도가 높아지면 유시티 건설의 필요성이나 당위성도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유시티 1호라고 할 수 있는 동탄유시티에 대한 현지 거주자들에 대한 공공서비스나 주거만족도 조사는 앞으로의 유시티 기획과 발전방향을 예측하고 대응하는데 유용한 기초조사로서의 가치를 갖게 된다. 21세기의 고령화, 독신가구 증가, 지능사회의 도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대 등의 사회변화에 대한 공공의 대응방안이 추체화되어야 할 것이며, 유시티 건설과 공공서비스는 그 일환이다.

2009년 현재 우리나라 최초의 유비쿼터스도시(Ubiquitous city)라고 할 수 있는 동탄동의 u-서비스 유형은 4가지 분야 13개 서비스이다. ① 안전(방범, 차량번호인식, 불법 주, 정차 단속) ② 교통(교통정보 제공, u-파킹, 대중교통 정보제공, 실시간 신호제어, 외부연계도로 교통정보 제공) ③ 환경(상수도 누수관리, 환경오염 정보) ④ 미디어(유-플래카드, 미디어 보드, 동탄 포털) 등이다(한국일보, 2009.1.8).

본 연구의 목적은 화성시 동탄신도시 거주자들의 공공서비스(u-public service, 이하 공공서비스)만족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동탄 유시티 공공서비스에 대하여 주민들은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등을 연구문제로 제기하고, 이들 연구문제 규명을 위하여 유시티와 유서비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이론적 접근과 국내, 외 유서비스 사례와 효과성, 문제점 및 설문조사를 통한 만족도 여부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공서비스 만족도 유무(有無) 등 연구문제의 답을 찾기 위하여 기존의 경기도(경기도, 2007 ; 2008) 설문자료 등을 참조하고, 238 명의 동탄 u-시티 거주자들에 대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2009년 3월 9일부터 12일까지 4일 동안 화성시 동탄 1동 주민센터의 협조를 받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동탄 유시티를 대상으로 하며, 내용적 범위는 독립변수로 공공서비스 사용에 대한 하드웨어 측면과 주민의 거주의사 및 유공공서비스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삼았으며, 분석의 방법과 내용은 빈도분석에 한정하였다.

 

Ⅱ. 유시티의 理論的 背景

 

第1節 유시티의 理論的 背景

 

1. 유시티와 유서비스의 意義

 

가. 유시티와 유시티 공공서비스

 

유시티(u-city)란 첨단 인프라스트럭춰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해 도시기능을 혁신적으로 제고시킨 21세기형 첨단도시이다. 디지털 홈과 전자행정, 전자교육, 전자환경 관리, 전자 교통 등을 도시통합관제센터에서 통합 관리하는 체제로 설계된다(전영옥, 윤종언, 2006 : 1 ; 네이버 용어사전, 2009.4.9).

즉, 유시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시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미래형 첨단도시로서 네트워크가 도시 곳곳에 있어 교통, 방범, 방재업무가 자동으로 처리되는 도시이다. 유시티는 국내 정보기술역량의 총체적으로 결집되어 건설, 가전, 문화의 컨버전스로 실현된 한국형 신도시로서, 국내에서는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지방자치단체, 통신사업자, 건설사업자, SI/NI 사업자 등이 중심이 되어 추진하는 유비쿼터스 IT의 대표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다.

유시티 공공서비스(u-city public service)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사용하여 공공기관이 개인, 기업, 국가에 제공하는 u-서비스이다(남세일 외 3인, 2008). 즉, (지역)정보서비스는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지역특성에 맞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서비스를 말한다(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08.3 : 11). 2009년 현재 동탄시 유서비스 13개 사례를 예시하면 ① 안전(방범, 차량번호인식, 불법 주, 정차 단속) ② 교통(교통정보 제공, u-파킹. 대중교통 정보제공, 실시간 신호제어, 외부연계도로 교통정보 제공) ③ 환경(상수도 누수관리, 환경오염 정보) ④ 미디어(u-플래카드, 미디어 보드, 동탄 포털)서비스 등이 있다(한국일보, 2009.1.8). 2009년 3월 현재 첨단정보기술로 실시간 제공되고 있다(연합뉴스, 2009.3.5).

 

나. 주요 서비스 類型과 內容

 

정근채(2007)는 “u-City 서비스 모델을 활용한 미래형 유비쿼터스도시 구축 전략,” 에서 유도시서비스 기능 4분류(산업지원서비스, 사회지원 서비스, 생활지원서비스, 도시기반서비스)하고, 한국형 유시티 모델로는 유-커뮤니케이션, 유-정보제공서비스, 유-상황정보서비스, 유-행위제안서비스, 유-지능형행동서비스로 구분, 제시하였다.

2007년 현재 유서비스 수요는 7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김지수 외, 2007 : 105 ; 정근채 참조). 교통서비스, 보건 및 의료서비스, 환경과 도시관리, 문화와 교육서비스, 행정서비스, 산업서비스 등이다.

< 표-1 > u-서비스 7유형과 세부 서비스

서비스 유형

세부 서비스

u-Home

원격검침, 원격제어, 원격수리, 출입문 제어, 홈네트워킹, IP 미디어

u-Work

재택근무, 원격회의, 무선 상거래

u-Traffic

교통상황서비스, 교통사고처리 서비스, 도로통합관리 서비스, 텔레메틱스

u-Health

헬스 케어 서비스, 원격검진, 원격의료치료, 응급조치

u-Environment

환경, 위생관리

u-Public Service

전자정부, 방범, 재난관리

u-Education

e-Learning, 학교관리 시스템, 학원 등하교 관리 시스템

 

자료 : 문나원 외(2009 : 24).

 

2. 서비스 主體와 範圍

 

가. 서비스 主體

 

유서비스는 공공서비스와 민간서비스로 구분된다(장정민, 김진태, 2007 : 16). 공공서비스는 도시가치 상승 요인으로 예를 들면 u-지하시설관리, u-환경관리, u-교통관리, u-시설관리, u-방재/치안관리 등이며, 민간서비스는 직접수익을 창출하는 서비스로 u-항만, u-관광, u-컨벤션, u-행정, u-교육, u-헬스 등과 상용서비스로서의 IPTV, 화상 전화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유서비스 제공주체와 관련 2009년 현재 유서비스 공급주체는 1) 공공기관 2) 민간분야로 구분된다. 공공서비스(민원, 재해, 기상, 교통, 방범 등)는 공공기관이, 부가서비스(u-홈네트워크, u-헬스, u-교통 등)는 서비스 가입자가 이용료를 지불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수익모델이다.(삼성경제연구소, 2006) 주거지역은 u-홈, u-헬스, u-교육 등이, 상업지역에는 u-오피스, u-물류, u-유통 등이 있다(삼성경제연구소, 2006 : 34). 광주의 경우 100가구 대상 선호도 조사 결과 e-러닝서비스(28%)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삼성경제연구소, 2006 : 35).

 

나. 유시티 공공서비스 範圍

 

유시티 공공서비스의 범위와 관련 정우수, 조병선(2007 : 196)은 개인생활부문, 산업경제 부분 및 공공행정서비스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장정민, 김진태(2007.8)는 “공간정보와 관련된 유비쿼터스 서비스 설정에 관한 연구” 에서 유도시 개발 사례분석과 공간관련 서비스 범위설정 방법론 제시, 유서비스 분류를 자치행정/교육, 문화 관광 등 8개로 범주화하고, 각각의 8개 분야를 1) 주요 업무 2) 유서비스 3) u-Technology로 구분하여 범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형 유서비스 로드맵을 공공, 민간으로 구분하고, 행정업무 관련, 공간정보 관련 유서비스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다. 유비아파트 認知度와 이용 의향

 

한국전산원(2005)은 유비쿼터스 용어 인지율을 68%, 전반적 만족도는 보통이나 주요 애로사항으로 고가 비용을 들고 있다. 유비아파트 인지도는 79.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필요성은 7점 만점에 평균 5.4점으로 긍정적이고, 구매이유로는 편리성, 생활 여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요구순위 분석결과는 1) 안전, 보안시스템 2) 위치기반 시스템 3) 오락, 교육, 건강시스템 4) 실내 환경조절 시스템 등이다.

유서비스 利用 意向과 관련하여 유시티 매력도는 70.2%로, 호감도는 59.7%, 기존도시 대 선호도는 53.4%, 유시티 이사 의향은 14.4%였다. 서비스 이용내용은 유 헬스, 유 홈네트워킹, 유비 방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2005, ETRI조사 재인용, 문나원, 2009).

 

第2節 유시티서비스 先行硏究와 分析의 틀

 

1. 선행연구 分析

유서비스 현황분석과 수요도 조사연구는 김지수, 김종명, 이태수(2007.9) 등이 수행한 연구로 주요 내용은 전국의 지역별(수도권, 경성, 전라, 충청지역) 유서비스 수요조사로서 조사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수요가 높았다. 지역별로는 전라도 주민이 수요가 가장 높고, 경상도가 가장 낮았으며, 유서비스 내용별로는 교통, 환경, 문화 교육, 산업관련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김갑성(2007.6)은 유비쿼터스 시티와 콘텐츠연구에서 IT와 미디어 발전에 따라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가 등장하였으며, 이는 콘텐츠의 진화적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고 하고,

따라서 미디어와 콘텐츠의 진화내용을 유시티의 다양한 콘텐츠로 개발하여 접목함으로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해야 한다고 했다.

전영옥, 윤종언(2006.6)은 2006년 현재 유서비스 공급주체는 1) 공공기관 2) 민간분야로 구분하고, 공공서비스(민원, 재해, 기상, 교통, 방범 등)는 공공기관이, 부가서비스(u-홈네트워크, u-헬스, u-교통 등)는 서비스 가입자가 이용료를 지불하는 형태로 운영을 수익모델을 제시하였다. 주거지역은 u-홈, u-헬스, u-교육 등이, 상업지역에는 u-오피스, u-물류, u-유통 등이 있다. 광주의 경우 100가구 대상 선호도 조사 결과 e-러닝서비스(28%)를 가장 선호하였다.

장정민, 김진태(2007.8)는 공간정보와 관련된 유비쿼터스 서비스 설정에 관한 연구 : 유-시티를 중심으로에서 유도시 개발 사례분석과 공간관련 서비스 범위설정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우선 유서비스 분류를 자치행정/교육, 문화 관광 등 8개로 범주화하고, 각각의 8개 분야를 1) 주요 업무 2) 유서비스 3) u-Technology로 구분하여 범주화하였다. 한국형 유서비스 로드맵을 공공, 민간으로 구분, 곧 행정업무 관련, 공간정보 관련 유서비스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정근채(2007)는 u-City 서비스 모델을 활용한 미래형 유비쿼터스도시 구축 전략에서 유도시서비스 기능 4분류(산업지원서비스, 사회지원 서비스, 생활지원서비스, 도시기반서비스) 한국형 유시티 모델 : 유-커뮤니케이션, 유-정보제공서비스, 유-상황정보서비스, 유-행위제안서비스, 유-지능형행동서비스로 구분하였다. 김석수(2008)는 유비지니스의 핵심분야를 9개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한국지역정보화학회(2008.3 : 20)는 공공지역정보서비스 경제성과 편익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편익규모는 약 1조 6천억원 정도라고 추산하였다.

거주의사(Intention to live)란 특정지역에 계속하여 거주하려는 정주의식으로 정의하고, 그의 측정은 1) 거주한다 2) 가능하면 떠난다 3) 꼭 떠난다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됐다(이원준, 1988). 유익진(1990 : 6-15)은 거주의사를 물리적 변수(주거면적, 층별 선호도, 직장과의 거리)와 사회적 변수(교육환경, 근린집단, 공동체, 거주기간) 및 경제적 변수(소득, 소유관계, 아파트 가격)으로 구분, 분석하였다. 윤호(2007)는 주거만족도의 영향요인을 주택특성, 단지특성, 주변 환경특성 및 경제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4가지 특성에 만족할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았다. 윤동준(2007 : 25)은 실버타운 노인들의 거주의사에 관한 연구에서 실버타운의 거주의사가 “있다, 없다”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천수봉, 우남민, 이재인, 손수봉(2007)등은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주거환경만족도 증진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연구를 통하여 유비주택을 분석하고, 제해성, 이재혁, 김경훈(2006) 등은 웰빙아파트 마케팅요소에 대한 주거만족도 비교 연구를 친환경인증단지와 비인증단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처럼 다수의 연구들이 거주의사를 종속변수로 삼아 분석하였다.

2. 分析의 틀

 

본 고에서 선정한 3가지 연구변수는 선행연구의 유서비스 수요도, 주거의사, 유서비스 만족도와 수요결과를 토대로 유시티의 하드웨어 측면, 거주의사, 유서비스 만족정도로 설정하였다. 변수 채택의 이유는 유시티 시설의 쾌적성, 편리성에 대한 수요자 만족여부와 새로운 개념의 유공공서비스 유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거주의사가 높아질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설정하게 되었다. 첫째, 유시티 하드웨어(Hardware) 측면에서는 교육여건, 교통여건, 단지 조망, 공공시설 만족도, 주택내부시설 등을, 둘째, 거주의사는 중, 장기 거주의사, 이주 시 다른 유시티 이주, 유시티 거주 자부심, 유시티 참여 의향 및 추천의사 등과 유서비스 만족도는 안전, 교통, 환경, 미디어 서비스로 구분 분석하였다. 셋째, 유시티 서비스만족도는 2009년 현재 제공중인 13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정도이다. 차례로 제시한다.

유시티 Hardware란 유시티의 하부구조인 시설적 측면으로서 본 조사에서는 교육여건, 교통여건, 단지 조망, 공공시설 만족도, 주택내부시설 등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와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동탄신도시 단지의 초‧중‧고등학교 등 교육여건 등에 대하여 만족하는가 2) 동탄신도시 도로 등 교통여건에 대하여 만족하는가 3) 동탄신도시 단지위치 및 조망 등에 대하여 만족하는가 4) 동탄신도시 단지 내의 공공시설(예: 공원, 도서관, 체육시설 등)이 다른 최신 단지의 시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잘 설치되어 있는가 5)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내부시설은 동탄 이외의 다른 도시 신규주택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가 등이다.

거주의사는 일정지역에 중, 장기적으로 계속하여 거주할 의향이 있는 정도를 말하며(이원준, 1988) 본 조사에서는 중, 장기 거주의사, 이주 시 다른 유시티 이주, 유시티 거주 자부심, 유시티 참여 의향 및 추천의사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동탄신도시에 계속적으로 거주할 의향이 있는가 2) 만약 이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유비쿼터스도시를 찾아서 이주할 것인가 3) 동탄신도시에 살고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자부심을 느끼는가 4) 동탄신도시를 보다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기 위한 일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가 5) 친구나 친지 등에게 동탄신도시를 추천할 의향이 있는가 등이다.

유시티서비스란 유시티에서 실시간 제공하는 공공서비스를 말한다. 2009년 현재 동탄시의 u-서비스 유형은 4가지 분야 13개 서비스이다. ① 안전(방범, 차량번호인식, 불법 주, 정차 단속) ② 교통(교통정보 제공, u-파킹, 대중교통 정보제공, 실시간 신호제어, 외부연계도로 교통정보 제공) ③ 환경(상수도 누수관리, 환경오염 정보) ④ 미디어(유-플래카드, 미디어 보드, 동탄 포털) 등이다. 본 고에서는 1) 안전서비스 2) 교통서비스 3) 환경서비스 4) 미디어 서비스로 구분하여 설문하였으며, 조사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안전(CCTV와 센서를 활용한 방범, 차량번호인식, 불법 주․정차 단속)서비스에 만족하는가 2) 교통(CCTV와 센서를 이용한 교통정보제공, 주차지원, 대중교통 정보제공, 실시간 신호제어, 외부연계도로 교통정보 제공)서비스에 만족하는가 3) 환경(상수도 누수관리, 환경오염정보)서비스에 만족하는가 4) 미디어(유-플래카드, 미디어 보드, 동탄신도시 포털) 서비스에 만족하는가 등이다. 기타 사항으로 유시티와 동탄유시티 인지도와 만족 서비스 및 개선필요 서비스를 분석하고자 한다.

 

 

Ⅲ. 동탄유시티 公共서비스 實態 分析과 解釋

 

第1節 동탄동 現況 分析

 

1. 동탄유시티

 

가. 유-경기

 

동탄동이 속해 있는 경기도와 화성시는 유헬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 중이다(경기도 도정백서, 2008 : 1007). 제도적으로는 웰빙 복지서비스 메시지 전달체인 ‘유-경기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화성시 또한 화성시 CI를 ‘수도권의 중심도시, 기분좋은 화성시’로 정하고, 화성시 BI를 ‘길이 열리는 화성시’로, 건강도시 화성 BI를 ‘활기차고, 건강한 도시’로 정하였다(화성시 통계연보, 2008).

화성시 인구는 2006년 현재 33만 명이며, 연간 예산액은 일반회계 기준 5천억 원 내외를 이룬다. 동탄동의 경우 2009년 3월 현재 2개동(동탄 1, 2동)이며, 동탄동의 인구는 2009년 3월 현재 10여만 명(99,000)에 이르고 있다(화성시 통계연보, 2008).

나. 동탄신도시 재정구조

 

2008년 12월 현재 경기도 예산은 31조 4천억원, 화성시는 8,743억원이다(2008 경기도 예산개요 : 264-286). 화성시의 경우 도세(道稅)는 4억 7천만원, 시세(市稅)는 약 3억원으로 집계된다(행정안전부, 지방세정연감, 2008.12). 화성시 세정과 내부 자료에 의하면, 동탄동의 세출예산은 2007년 92억원, 2008년 237억원, 2009년 208억원이다. 동탄동의 세입현황(재산세)은 동탄 1동의 경우 2007년 4,478백만원, 2008년도 6,567백만원이, 동탄 2동의 2008년 2,181백만원이다. 2009년 현재 화성시 측(세정과)에서는 동탄동의 도시기반시설 투자 등으로 인하여 세입에 비하여 세출이 많은 실정이라고 하고 있다.

 

2. 화성시 동탄유시티 解決課題

 

가. 화성시 거주 이유

 

2007년 현재 화성시민들의 화성시 거주이유는 경제적인 이유(직장 등)가 경기도 타 시,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난다. 전 연령대에 걸쳐 경제문제(20-30%), 직장 (20-43%)이 거주이유이다. 타 시군은 “오래전부터 살았기 때문에”(20-50%)로 나타났다(경기도, 2007 : 197).

 

나. 화성시 시급해결 분야

 

곧바로 해결을 바라는 서비스는 도시교통(34.1%), 문화 체육(22.4%), 보건복지(17.7%) 순이다(경기도, 2007 : 544-545). 지역개발 불만족도는 23.5%로, 주요 불만사항은 중앙 및 지자체의 지원 미약(38.5%), 주민의 개발의지 부족(25.2%) 등으로 응답하였다.

 

나. 현 거주지 만족도

 

현 거주지 생활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가 약 50%, 불만족 46.2%, 주택 만족도는 80%로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며, 주택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경기도, 2007).

 

第2節 설문 분석과 해석

 

1. 응답자 분석

 

 

 

 

 

 

 

 

 

 

 

 

 

 

< 표-2 > 설문응답자 분석

응답자 특성

구분

빈도

비율(%)

가구주 성별

149

62.6

82

34.5

무응답

7

2.9

가구주 연령

20대

13

5.5

30대

83

34.9

40대

96

40.3

50대

31

13.0

60대

9

3.8

무응답

6

2.5

가구주 학력

중졸 이하

3

1.3

고졸

53

22.3

전문대졸

51

21.4

대졸

104

43.7

대학원 이상

19

8.0

무응답

8

3.4

가구주 직업

자영업

60

25.2

사무직

53

22.3

전문직

44

18.5

공무원

16

6.7

무직

16

6.7

기타

22

9.2

무응답

7

2.9

가족 구성원 수

1인

8

3.4

2인

34

14.3

3-4인

160

67.2

5-6인

28

11.8

7인 이상

2

0.8

무응답

6

2.9

합 계

238

본 조사에 대한 설문응답자의 특성은 남자, 30-40대, 전문대졸, 자영업/사무직/전문직, 3-4인 가족구성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표-2>참조) 가구주 학력은 대졸 이상이 74% 이싱이며, 직업별로는 자영업, 사무, 전문직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2. 동탄유시티 거주만족도 분석

가. 인지도

 

동탄유시티에 대해서 응답자의 65%가 알고 있다고 < 표-3 >과 같이 응답하고 있으며(2005년 한국전산원의 선행연구 등과 결과가 유사한 비율을 이루고 있음), 24% 정도는 잘 모르고 있었다. 무응답은 5명(2.1%)였다. 2009년 현재 응답자들은 동탄신도시가 유시티로 건설된 사실에 대한 인지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다.

 

< 표-3> 유시티와 동탄유시티 인지도

구분

동탄 유시티 인지도

유시티 인지도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전혀그렇지 않다

24

(10.1)

20

(8.4)

그렇지 않다

40

(16.8)

36

(15.1)

그저 그렇다

34

(14.3)

52

(21.8)

그렇다

105

(44.1)

104

(43.7)

매우 그렇다

29

(12.2)

21

(8.8)

무응답

6

(2.5)

5

(2.1)

합 계

238

(100)

238

(100)

 

< 표-3 > 에 의하면 동탄신도시가 유시티로 건설된 사실에 대해서 응답자의 56%는 확실하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27%는 잘 모르고 있었다. 선행연구의 유시티인지도 등과 유사한 인지율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도 대중적으로는 다소 생소한 개념임을 반증하고 있다. 무응답은 6명(2.5%)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거자들의 특성, 곧 노령층이 일부 포함되어 있어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나. 동탄 신도시 하드웨어(도시기반시설) 측면

 

< 표-4 >는 동탄신도시 단지의 초‧중‧고등학교 등 교육여건 등에 대한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서 교육여건에 대하여 응답자의 25%는 긍정적이나, 40%가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는 아직 도시구조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한 것이 원인이 있다고 추정된다. 무응답은 3명(1.3%)였다. 그러나 도시만족도는 교통, 교육, 복지, 환경 등과 같은 제도적 장치의 구축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면, 교육 여건 등 도시기반시설보강이 시급한 실정이다.

 

 

< 표-4 > 교육 및 도로여건

구분

교육 여건

도로 여건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전혀그렇지 않다

45

(18.9)

56

(23.5)

그렇지 않다

50

(21.0)

56

(23.5)

그저 그렇다

79

(33.2)

54

(22.7)

그렇다

53

(22.3)

57

(23.9)

매우 그렇다

8

(3.4)

11

(4.6)

무응답

3

(1.3)

4

(1.7)

합 계

238

(100)

238

(100)

 

동탄신도시의 도로 등 교통여건에 대하여 만족하는가의 질문에 28%가 이를 긍정하고 있으며, 47%가 부정하고 있다. 이것은 2009년 현재 경기도가 광역교통본부를 설치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고, 또 서울과 통탄 간 도시고속화도로가 개통되면 상당부분 해소될 것이다. 무응답은 4명(1.7%)였다.

< 표-5 >는 동탄신도시 단지위치 및 조망 등에 대한 만족여부에 대한 질문에 51%가 긍정하고 있고, 13%가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단지위치나 조망 등에 대하여 매우 만족하고 있다. 무응답은 7명(2.7%)였다. 경기도와 화성시 당국은 동탄동의 메리트를 수도권에서 치지하는 위치와 환경적 조망 등으로 특성화 한 도시마케팅 전략을 활성화할 필요성이 높다.

 

< 표-5 > 동탄신도시 단지위치, 조망과 공공시설 및 주택시설

구분

위치와 조망

공공 시설

주택 시설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전혀그렇지 않다

3

(1.3)

16

(6.7)

9

(3.8)

그렇지 않다

29

(12.2)

40

(16.8)

34

(14.3)

그저 그렇다

76

(31.9)

62

(26.1)

92

(38.7)

그렇다

98

(41.5)

95

(39.9)

86

(36.1)

매우 그렇다

25

(10.5)

25

(10.5)

16

(6.7)

무응답

7

(2.9)

-

1

(0.4)

합 계

238

(100)

238

(100)

238

(100)

동탄신도시 단지 내의 공공시설(예: 공원, 도서관, 체육시설 등)이 다른 최신 단지의 시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잘 설치되어 있는가라는 질문에 50%가 인정하고 있고, 42%가 불만을 나타내고 있어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내부시설은 동탄 이외의 다른 도시신규주택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합니까? 라는 질문에 42%가 긍정하고 있고, 18%는 부정하고 있다. 비교적 높은 주택내부시설 만족도이다.

 

다. 동탄신도시의 거주의사

 

< 표-6 >는 동탄신도시에 계속적으로 거주할 의향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69%가 적극적인 의사를 보이고 있고, 8.8%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거주자의 거주의사는 그 지역의 쾌적성, 자산가치, 교통과 교육, 복지제도의 구비 등에 따라 좌우된다. 응답자들의 거주의사가 약 70%라면 동탄신도시 개발은 그만큼 효과적인 주택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 표-6 > 동탄신도시 계속적 거주의향과 이주의사

구분

거주 의사

유시티 이주 의사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전혀그렇지 않다

5

(2.1)

16

(6.7)

그렇지 않다

16

(6.7)

36

(15.1)

그저 그렇다

50

(21.0)

88

(37.0)

그렇다

143

(60.1)

78

(32.8)

매우 그렇다

22

(9.2)

17

(7.1)

무응답

2

(0.8)

3

(1.3)

합 계

238

(100)

238

(100)

 

< 표-6 >은 만약 이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유비쿼터스도시를 찾아서 이주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에 40%가 긍정하고 있고, 22%가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긍정적 답변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부정적인 응답은 노령층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설문과정을 통하여 파악하였으며, 아직 체험적인 유서비스 편리성을 체험하지 못한 현상으로 해석된다.

 

< 표-7 >은 동탄신도시에 살고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자부심을 느끼십니까? 라는 질문에 43%가 긍정하고 있고, 18%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자부심이 높게 나타난다.

 

< 표- 7 > 동탄신도시 자부심과 주민참여, 추천의향

구분

동탄신도시 거주 자부심

주민 참여 의향

동탄신도시 추천의향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전혀그렇지 않다

12

(5.0)

4

(1.7)

7

(2.9)

그렇지 않다

30

(12.6)

17

(7.1)

24

(10.1)

그저 그렇다

93

(39.1)

53

(22.3)

68

(28.6)

그렇다

85

(35.7)

123

(51.7)

105

(44.1)

매우 그렇다

17

(7.1)

40

(16.8)

29

(12.2)

무응답

1

(0.4)

1

(0.4)

5

(2.1)

합 계

238

(100)

238

(100)

238

(100)

 

 

동탄신도시를 보다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기 위한 일에 참여할 의향이 있으십니까?라는 질문에 67%가 적극적인 의사를 보이고 있으며 8.8%만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갖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지방자치와 거버넌스 구성주체가 주민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도와 시가 적극적으로 구조화 하는 작업의 필요성을 과제로 남긴다.

 

또한, 친구나 친지 등에게 동탄신도시를 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56%가 권유의사를 보이고 있고, 13%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무응답은 5명(2.1%)였다.

 

 

라. 동탄 유시티서비스의 만족도 인식

 

< 표-8 >은 안전(CCTV와 센서를 활용한 방범, 차량번호인식, 불법 주․정차 단속)서비스에 만족하십니까?라는 질문에 48%가 긍정하고 있고, 23%가 불만을 주장하고 있다. 무응답은 4명(1.7%)였다.

< 표-8 > 안전서비스와 교통서비스 만족도

구분

안전서비스 만족도

교통서비스 만족도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전혀그렇지 않다

14

(5.9)

21

(8.8)

그렇지 않다

41

(17.2)

59

(24.8)

그저 그렇다

65

(27.3)

77

(32.4)

그렇다

94

(39.5)

63

(26.5)

매우 그렇다

20

(8.4)

14

(5.9)

무응답

4

(1.7)

4

(1.7)

합 계

238

(100)

238

(100)

 

교통(CCTV와 센서를 이용한 교통정보제공, 주차지원, 대중교통 정보제공, 실시간 신호제어, 외부연계도로 교통정보 제공)서비스에 만족하십니까?라는 질문에 32%가 긍정적이고, 33%가 부정적이어서 반응이 비슷하다. 무응답은 4명(1.7%)였다.

 

< 표-9 >은 환경(상수도 누수관리, 환경오염정보)서비스에 만족하십니까? 라는 질문에 34%가 긍정적이고, 24%가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무응답은 4명(1.7%)였다.

 

< 표-9> 환경서비스와 미디어 서비스 만족도

구분

환경서비스 만족도

미디어 서비스 만족도

빈도

(퍼센트)

빈도

(퍼센트)

전혀그렇지 않다

14

(5.9)

15

(6.3)

그렇지 않다

44

(18.5)

40

(16.8)

그저 그렇다

96

(40.3)

127

(53.4)

그렇다

70

(29.4)

45

(18.9)

매우 그렇다

10

(4.2)

5

(2.1)

무응답

4

(1.7)

6

(2.5)

합 계

238

(100)

238

(100)

 

미디어(유-플래카드, 미디어 보드, 동탄신도시 포털) 서비스에 만족하십니까?라는 질문에 21%가 긍정적이고, 23%가 부정적 반응을 보여 비슷하다. 무응답은 6명(2.5%)였다.

 

 

마. 기타 동탄 유시티서비스와 관련된 사항

 

이하에서는 동탄시티에서 제공하는 유서비스와 관련된 사항으로서 1) 거주이유 2) 신도시 만족서비스 및 3) 신도시 개선필요서비스로 결과를 우선순위별로 분석하여 제시한다. < 표-12>는 동탄신도시 거주 이유에 대하여 쾌적한 환경과 주택 가격상승기대를 절대수치로 보여주고 있다. 즉 1) 쾌적한 환경 2) 주택가격 상승 기대 3) 안정성 4) 주거 편리성 등으로 나타나 동탄유시티의 경쟁력은 “쾌적한 환경과 수도권”이라는 측면을 전면에 내세우는 접근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된다.

< 표-10 > 동탄신도시 거주 이유

동탄신도시 거주이유

빈도

순위

쾌적한 환경

137

1

주거시설의 편리성(교통, 쇼핑, 의료 등)

64

4

자녀의 교육환경

42

5

안전성과 보안성

(CCTV 등의 설치로 인한 방범시설 등)

73

3

주택 가격상승 기대

117

2

기타

6

6

 

< 표-11 >는 동탄신도시에 거주하면서 가장 만족하는 유시티서비스로는 환경과 방범 및 방재를 들고 있다. 즉 유시티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1) 환경서비스 2) 방범과 방재서비스 3) 문화, 관광서비스 및 4) 보건,의료서비스 등으로 응답하여 현재 서비스중인 프로그램 중에서는 환경서비스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위의 쾌적한 주거환경과 유서비스인 환경서비스가 확고부동한 자리를 차지한다는 점을 홍보하는 것이 주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 표-11 > 동탄신도시 만족 서비스와 개선필요 서비스

구분

동탄신도시 만족 서비스

동탄신도시 개선필요 서비스

순위

(빈도)

순위

(빈도)

보건, 의료, 복지

4

(29)

3

(67)

방범, 방재

2

(59)

5

(46)

교육

6

(13)

2

(92)

교통

5

(27)

1

(94)

문화, 관광, 스포츠

3

(30)

4

(60)

근로, 고용

7

(7)

6

(23)

환경

1

(118)

7

(13)

기타

7

(7)

8

(1)

 

동탄신도시에 향후 가장 시급하게 개선해야 하는 유시티서비스에 대해서는 교통, 교육, 보건/의료/복지 등의 순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개선과제로는 1) 교통 2) 교육 3) 보건, 의료 4) 문화, 관광 등으로 나타나 교통과 교육개선이 가장 시급한 현안과제로 인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

 

 

Ⅳ. 政策的 示唆点

 

본 연구는 동탄 유시티 공공서비스에 대하여 주민들을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그 연구문제의 답을 찾기 위하여 기존의 경기도(경기도, 2007 ; 2008) 설문자료 등을 참조하고, 238 명의 동탄 u-시티 거주자들에 대한 도시공공서비스 사용에 대한 하드웨어 측면과, 거주의사와 유공공서비스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유시티 인지도, 유서비스 하드웨어 인식도, 거주의사, 유서비스 만족도 등에서 인지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한다.

첫째, 유시티 인지도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유시티에 대해서 65%가 인지하고 있고 동탄신도시가 유시티로 건설된 사실에 대해서 56%가 잘 알고 있었다. 이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30-40대의 남성이며 학력이 높은 편이고, 자영업/사무직/전문직이라는 특성에 따른 인지도라고 평가된다.

둘째, 동탄신도시 하드웨어 구조 인식도는 동탄신도시 단지의 교육여건과 교통여건 등에 대해서 부정적인 견해가 지배적이지만, 동탄신도시 단지위치 및 조망, 공공시설(예: 공원, 도서관, 체육시설 등) 등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자신들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내부시설이 다른 도시 신규주택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응답하여 기반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동탄신도시 거주의사와 관련 동탄신도시에 대해서 적극적인 거주의사를 보여주고 있음. 특히 유비쿼터스도시에 대해서 과반수정도의 자긍심을 보여주고 있고, 동탄신도시를 보다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기 위한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지배적임. 따라서 친구나 친지 등에게 동탄신도시를 추천하겠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어 이를 자신들의 자산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대나 고려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동탄 유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설문 결과 동탄 유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안전(CCTV와 센서를 활용한 방범, 차량번호인식, 불법 주․정차 단속)서비스와 환경(상수도 누수관리, 환경오염정보)서비스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나 교통(CCTV와 센서를 이용한 교통정보제공, 주차지원, 대중교통 정보제공, 실시간 신호제어, 외부연계도로 교통정보 제공)서비스와 미디어(유-플래카드, 미디어 보드, 동탄신도시 포털) 서비스에 대해서는 부정과 긍정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었다.

끝으로, 기타 동탄 유시티서비스와 관련하여 동탄신도시에 거주하면서 가장 만족하는 유시티서비스로는 환경과 방범 및 방재 등이며 이를 통해 쾌적한 환경과 주택가격 상승기대가 높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서는 1) 교통 2) 교육 3) 보건, 의료 4) 문화, 관광 등으로 나타나 교통과 교육개선이 가장 시급한 현안과제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대응이 요구된다.

이처럼 동탄신도시 유서비스 만족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1) 환경, 안전 2) 방재, 방범 3) 아파트 가격 상승 기대 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들은 화성시가 “살기 좋은 도시, 건강과 웰빙, 전원도시”(화성시 통계연보, 2008)로 시정방침을 정한 것과 관련 기존의 도시 이미지와도 잘 맞아 떨어지는 결과로서 화성시는 앞으로 ‘안전, 웰빙, 방재 도시’ 라는 도시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우는 시정전략적 접근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웅변한다. 따라서 동탄 신도시 이미지 제고방안은 동탄 신도시의 주거만족도를 중심으로 1) 환경, 안전 2) 방재, 방범 3) 아파트 가격 상승 기대 등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즉 살기 좋은 도시, 건강과 웰빙, 전원도시 이미지로 홍보하는 전략이 유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동탄 신도시의 전망은 환경, 방재도시, 유비거주 만족, 조망 만족 등에서 나타나듯이 전원도시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이러한 신도시 이지미를 제고시킬 수 있는 도시정책 추진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임과 동시에 그런 한편 단점으로는 취약문제인 1) 도시 교통 2) 교육문제 해소방안 제시가 주요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어 이들 문제에 대한 해결이 주요 도시정책 과제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유시티 거주민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물로서의 현실적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며, 추후 유서비스 만족도 측정을 위한 확인적 자료로서의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동탄 신도시 이미지 제고방안은 동탄 신도시의 주거만족도를 중심으로 1) 환경, 안전 2) 방재, 방범 3) 아파트 가격 상승 기대 등을 부각시키는 전략적 접근, 즉 살기 좋은 도시, 건강과 웰빙, 전원도시 이미지로 홍보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분석 결과 유서비스 소프트웨어 측면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가서비스 개발과 소프트웨어의 고급화가 요청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으로는 최초 유시티 주거만족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만족, 불만족요인의 도출, 유시티의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그런 한편, 단점으로는 취약문제인 1) 도시 교통 2) 교육문제 해소방안 제시가 주요 현안으로 대두됨에 따른 구체적인 개선방안의 모색과 도시교통, 복지, 교육 등 광역적 통합운영센터 설치 필요성도 제기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문제는 동탄동이나 화성시 입장에서만 접근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수도권 주민들의 광역행정현안 인식과 관련된 중요성 정도의 ‘동의’사항은 1) 교통(98.5%) 2) 복지(93.5%) 3) 경제(91.5%) 4) 환경(90%) 5) 주택(87.8%) 순으로 공동협의에 동의하고 있는 것을 봐도(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08 : 65) 수긍이 가는 것이다. 동탄 신도시가 향후 가장 시급하게 개선해야 할 과제는 유서비스로는 교통, 교육, 보건/의료/복지 등의 순으로 관심을 보였다.

본 硏究의 限界와 後續硏究 課題를 예시하면 첫째,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동탄 신도시 1개 지역 만을 대상으로 분석하다보니 여타 유시티나 기존의 일반 도시들과의 유사성 또는 차이점 등을 분석하지 못하여 차후 도시비교연구를 통한 유시티의 차별성 요인을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후속연구 방향을 예시하면 유서비스 유형화를 통하여 유시티 특성에 맞게 개별적, 단계별 서비스를 개발하고, 민간재 성격을 지닌 수익모델 개발과 수익자비용부담 방안이 보다 심층적, 구체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거주자들의 서비스 체감도를 제고할 수 있는 가시적인 서비스 효과 제시와 광역적인 통합정보센터 기능을 띤 제도적인 ‘광역통합정보센터(안)’ 설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參考文獻

 

1. 單行本

 

경기도.(2008.7). 『2007 도정백서』

경기도.(2007.12). 『2007 경기도민 생활수준 및 의식구조 조사』

경기도.(2009). 『2008년도 경기도 예산개요』

김석수.(2008). 『유비쿼터스 라이프와 미래사회』집문당.

유승원.(2006.4).『도시마케팅의 이해』한솜미디어.

이성길, 조정락, 김정재.(2008.3).『유비쿼터스 도시』연학사.

최봉현, 박정수, 조현승, 조승국.(2007.9).『이동통신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산업연구원.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7.6).『공공정보가 디지털 경제를 움직인다 : 공공정보의 민 간활용 가이드 라인』

한국전산원.(2005.12). 『유비쿼터스 사회 새로운 희망과 도전』진한엠앤비.

한국지역정보화학회.(2008.3). 『전자정부 구현사업 영향분석 연구 최종보고서』

화성시.(2008.6). 『2007 화성통계연보』제47회.

행정안전부.(2008.12). 『지방세정연감』

행정자치부.(2007.12). 『유라이프 21 기본계획』

 

2. 論 文

 

김갑성.(2007.6). “유비쿼터스 시티와 콘텐츠,”『토지와 기술』제72호, 한국토지공사 : 15-25.

김지수, 김종명, 이태수.(2007.9). “유비쿼터스 서비스 수요에 관한 연구,”『한국컴퓨터정보 학회논문지』제12권 제4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 103-110.

남세일, 김민관, 이차영, 한창희.(2008).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델의 성과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u-Health 서비스의 투자타당성을 중심으로,”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제15권 제1호 : 183-202.

대한지방행정공제회.(2008.3). “서울시, 경기도간 광역통합행정의 실현,”『지방행정』

문나원 외 3인 .(2009). "유비쿼터스도시(U-city)의 시장기회와 잠재력,” (http://cafe342.daum.net/-c21)

유익진.(1990). “아파트단지 주민의 거주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건국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석사학위논문).

윤동준.(2007.12). “전라남도 노인의 실버타운 거주의사에 관한 연구,”(호남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석사학위논문).

윤 호.(2007). “주거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부동산정책연구』제8집 제2호, 한국부동산 정책학회 : 21-38.

이병진.(2008.8). “유시티 구현을 통한 부산의 미래,”『자치행정』(사)지방행정연구소 : 35-39.

이원준.(1988.12). “전원단지 주거 형태 및 생활권역별 주거의식에 관한 연구,”『주택금융』 제108호, 한국주택은행 : 16-30.

장기섭, 김기수.(2008.9).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유비쿼터스 시스템적 특성과 서비스 품질요인을 중심으로,”『정보시스 템연구』 제17권 제3호, 한국정보시스템학회 : 175-204.

장정민, 김진태.(2007.8). “공간정보와 관련된 유비쿼터스 서비스 설정에 관한 연구 : 유-시 티를 중심으로,”『부동산학보』 제30집 : 5-19.

전영옥, 윤종언.(2006.6). “유시티의 성공적인 개발모델과 시사점,” Issue Paper, 삼성경제 연구소.

정근채.(2007). “u-City 서비스 모델을 활용한 미래형 유비쿼터스도시 구축 전략,” 『Entrue Journal』Vol.6, No.1, 5 : 81-100.

정우수, 조병선.(2007.3). “가중치 모형을 이용한 u-City 유망서비스 우선순위에 관한 연 구,”『국토연구』제52권, 국토연구원 : 193-214.

정진우, 배인수, 임보영.(2008.3). “국내외 사례비교를 통한 바람직한 유시티사업의 추진전 략 모색,”『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제11권 제1호 : 163-180.

제해성, 이재혁, 김경훈.(2006). “웰빙아파트 마케팅요소에 대한 주거만족도 비교 연구 : 친 환경인증단지와 비인증단지의 비교를 중심으로,”『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제22권 제9호, 대한건축학회 : 57-66.

천수봉, 우남민, 이재인, 손수봉.(2007).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주거환경만족도 증진을 위 한 구조방정식 모형연구,”『품질경영학회지』제35권 제4호, 한국품질결영학회 : 26-37.

한국전산원.(2005). “국민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이용현황과 과제,” 시리즈 제4-1(국민생활 부문)

한국전산원.(2005). “공공부문의 유비쿼터스 이용현황과 과제,” 시리즈 제4-2(공공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