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vid-19와 기후비상 대응 니밋따 융합명상
- Nimitta 융합 숲 명상을 중심으로 -
□ 서론
□ 연구 배경, 목적, 필요성과 방법
○ 본 고는 4차산업혁명시대의 코비드-19 위기, 환경 위기, 난개발 위기 관련 환경과 조화된 인성(인품)함양적 접근과 기후비상의 대외적 접근과 대내적인 개인 수양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대안을 제안함.
○ 2022년 현재 인류는 Covid-19 팬데믹과 이상 기후의 와중에서 개개인의 위생과 면역, 비대면 현상과 관련 혼자 있기 훈련이나 섭양적 측면과 자연을 중시하고 동화됨.
◌ 최근 코비드 대응과 기후변화에 기본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법의 하나가 개인수양적 접근임. 명상적 결가부좌(니밋따 명상)수행은 혼자 있기 장소인 숲에서 세상의 환경과 단절한 뒤 자신의 내면으로 몰입함. 그런 명상에 좋은 숲은 물리적 공간적으로 외부의 모든 것을 차단시켜 내면에 몰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
○ 이 연구의 必要性으로는 새로운 2021년을 맞으면서 인류는 Covid-19팬데믹 와중에서 그 개인적 대응은 개개인의 위생, 면역, 혼자 있기 관련 攝養, 長壽, 不動心, 비대면 혼자있기 등 독창적인 ‘융합명상’법을 제안함.
○ 내용적 범위 측면은 기후비상과 변화 대응 측면과 관련 비대면 감성, 창의, 혼자있는 훈련과 특성적 측면임. 자유롭고자 하는 의지와 송림(松林) 아래 앉고 싶은 마음의 흐름에 따르며, 까치소리, 상수리 떨어지는 소리를 들으면서 명상함.
○ 연구 방법은 주요 일간지, 학술지 및 전문가 견해, 필자의 경험사례를 중심으로 접근. 개인 심신위생을 위한 융합명상은 음악, 체육, 섭양 효과를 중심으로 접근하며, 숲 育林을 주지시키는 양면 접근임.
□ 본 론
□ 코비드 팬데믹
◌ 각국은 ‘포스트 코로나(Post covid-19)’ 대응에 사활을 걸고 있음. 국내적으로는 대면 접촉 기피현상과 국제적으로 직면한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하여 인간과 지구,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알게 됨.
□ 기후비상
○ 영국 옥스퍼드 영어사전은 '기후 비상(climate emergency)'을 포함. "기후 변화로 인한 잠재적이고 되돌릴 수 없는 환경피해를 피하기 위해 더 긴급한 행동이 필요한 상황"으로 정의함.
○ 자연재앙과 해양오염 등 자연 災殃(災害) 관련 노벨상수상자들의 미래예측은 환경재앙 등임.
○ 세계적인 기상비간 등 현재 일상화되는 폭염, 혹한, 만년설 해빙, 온난화, 황사, 미세먼지, 해양 오염 등이 위험 수위임.
〇 노벨위원회도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정하고, 지구온난화 예측 연구를 수행한 독일과 미국 과학자를 노벨물리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
○ 지구 온도가 지금보다 3도 오르는 2050년 전후 미국 펜타곤, 영국 버킹검, 호주 오페라 하우스, 김포공항, 인천시, 부천시, 부산시 등 침수됨. 중국 상하이, 쿠바 아바나 등 전 세계 50개 주요 도시가 물에 잠길 수 있음. 싱가포르 30% 침수 위험.
〇 해수면 상승에 가장 취약한 상위 5개국에 중국,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가 포함됨.
○ 인천, 부산, 울산을 비롯한 바닷가 여러 지역들이 해수면 대비 5미터 이하로 해수면 상승에 곧바로 영향을 받음(https://climate.or.kr).
□ 한계와 과제
○ 인류가 익숙했던 대기순환이 지구온난화로 돌변함. 예년보다 극한기후 현상이 빈발. UN은 이같은 글로벌 기후재앙에 세계가 공동 대응할 것을 촉구함.
○ 지구 생태계는 이미 자연 회복 가능한 티핑 포인트(한계점 대응)는 지남. 현실적 한계점은 지역차원에서 대응 불가성임.
○ WP는 의료계 종사자 4500만명을 대표하는 450개 단체도 지난 10일 기후변화를 경고하는 서한을 발표. 이들 단체는 기온상승으로 호흡부전과 정신이상, 해충이 옮기는 질병 등 각종 건강문제가 늘어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기후 위기가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건강 위험”이라고 강조함.
□ 대안적 접근 시스템
□ 국제적 접근
〇 재앙을 막으려면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시대보다 1.5도 이내로 제한하자는 「파리 기후협약」을 지켜야 함. 그러나 전 세계가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순제로’를 달성하는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지구 온도는 1.5도 넘게 오를 것으로 예상함.
〇 독일의 메르카토르연구소는 지구온난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 기후변화 10만 건 이상의 사례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해 탄소 배출에 따른 온도·강수량 변화를 찾음.
○ 홍수, 폭염 등의 기상비상이 인간의 활동에 따른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것임을 확인. 육지 면적의 80%가 온난화의 영향을 받고 있음. 전 세계 85%의 인구가 기상이변을 경험함.
○ “웬만한 유럽 도시에서는 대중교통으로 자전거를 이용하는 비율이 50%. 빠르고 편리해서 이용함. 자전거 도로가 잘 갖춰져 있으면 10㎞쯤 얼마든지 갈 수 있음. 삶의 조건을 바꿔야 함.
○ 기후 비상문제는 절대 쉽게 해결될 수 없음. 화석연료 기반의 세상이 완전히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재편되어야 함. 자전거, 전기자동차 대체 등임.
○ 저탄소 접근 도시 사례로 덴마크 코펜하겐은 자전거 슈퍼 하이웨이(김광석 외, 2015), 도시가스와 기름보일러 최소화로 접금함. 호주 멜버른은 Canopy 나무 식수, 도시 숲 조성 및 태양광, 풍력, 수력의 최대화임. 중국은 천연자원, 에너지 보존 환경보호로 접근함.
○ 먼저 기후비상 대응 탄소 문제는 21세기 인류의 과제 측면에서는 기본소득 탄소세와 기본소득 토지세를 신설해 재원을 마련함.
〇 핀란드가 세계 최초로 탄소세를 도입한 이후 탄소세의 역사가 30년을 기록함. 탄소세가 온실가스 감축에 긍정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됨.
○ "탄소예산이란 앞으로 1.5도를 넘지 않으려면 어떠한 양 이내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제한해야 한다는 개념임.
□ 국내 기후 비상과 숲정책 접근
○ 기후비상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가 몰라서 안 하는 것은 아님. 들으려 하지 않고 들을 귀가 없음.
○ 2021년 현재 정책 패러다임을 ‘도시와 숲의 공존’으로 바꾸고 지난 6월 ‘도시숲법’을 제정, 본격 시행 중임.
도시 숲 면적을 늘려갈 계획을 함. 각 지자체는 탄소흡수원으로서의 도시 숲 중임.
○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됨. 목재의 85%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실정을 고려할 때 목재 자급률을 높이는 데도 도시 숲이 대안임.
○ 2018년 국제학술지 ‘생태학적 모델량’에 따르면 인구 1,000만 명이 넘는 도시의 숲이 제공하는 사회적 편익은 연간 5억 500만 달러임. 즉, 도시 숲의 그 존재만으로 공공의 이익으로 연결되는 것임.
○ 싱가포르는 해수면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제일 먼저 떠올린 방법은 기존의 생태계를 보존하거나 복원하면서 해안을 보호함. 일명 NbS(Nature-based Solutions)라고 부르는 자연기반 해결책을 먼저 시작함. 맹그로브 숲은 해일이 몰아쳐도 파도에 맞서 해안 지반을 보호하고 해일의 높이를 75%까지 낮춤.
□ 숲과 명상 정책적 접근
□ 국내적 접근(숲의 복원과 코비드 대응)
○ 인간은 기후 위기에 어떻게 대응하고, 어떻게 적응해야 하나를 기후 비상 속 도시, 자연, 인간 스스로에게서 해답을 찾아야 함.
○ 개인이 정책 제안을 살펴줄 기관은 어디에도 없으나 개인들이 실천할 수 있는 사항을 찾아보면 도처에 있음. 자전거, 자연사랑, 나무 심기, 초목 사랑, 숲 명상도 그 중 하나임.
〇 도시 숲은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탄소를 고정하고, 지표 온도를 낮추며, 미세먼지를 줄이는 필터가 됨. 도시의 자투리 녹지들은 조각조각 일지라도 토양에 빗물을 저장하고 폭우 때 물의 흐름을 느리게 해서 홍수를 완화해 줌. 도로변 먼지를 빗물로 씻어 내려 미세먼지가 다시 날아오르지 않게 함.
○ 숲은 ‘피톤치드’로 때 묻은 폐에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고, ‘생활 스트레스’ 로 가득한 마음에 평온을 줌. 『논어』 선진편에 “浴乎沂風乎舞雩詠而歸(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에서 바람쐬고 노래하며 돌아오겠습니다)”라고 선인은 설파.
○ 삼림욕은 울창한 숲속에서 심신의 활력을 회복시키는 나무에서 나오는 성분(피톤치드)을 활용하는 휴식법. 인간의 자율신경을 자극해 심신을 안정시키고, 감각계통을 조절하여 뇌건강 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짐.
□ 개인적 숲 (Nimitta)명상 접근
○ 코비드 19 비대면 숲 명상 측면임. 자연과 소통임. 소통은 상대와도 나누지만 자신과의 소통 역시 중요. 몸과 마음, 호흡을 통한 하나되기 소통, 그것이 명상임. 솔 숲(松林)명상이란 솔 숲에서 자유롭게 수행하는 명상임.
○ 숲 명상은 세상의 환경과 단절한 뒤 자신의 내면으로 향하는 행위임. 명상에 좋은 장소는 숲임. 숲은 물리적 공간적으로 외부의 모든 것을 차단시켜 더 쉽고 효과적으로 내면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 이런 이유 때문에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명상센터는 모두 숲에 위치.
○ 필자의 「니밋따 융합명상」효과는 심신의 평강을 견인함과 동시에 창의적 마인드를 열어준다는 점. 그 토대가 신체의 자유자재임. 필자의 경우 요가로 신체를 유연하게 한 후 가부좌 또는 반가부좌(半跏思惟)와 함께 수식관 수행을 겸함.
○ 참선(명상)의 일반적인 체험 효과는 첫째, 자연 교류, 자기 성장, 교육 체험, 휴식 등이며, 둘째, 정서역량 함양, 사회적 측면, 인지 역량적 측면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긍정적 마음은 면역체계를 강화시킴.
○ 좌선과 채식 융합 효과와 관련된 치유 효과로는 정신치유 효과 및 몸 치유 효과에서 입증됨. 사찰음식의 효능과 효과와 건강증진 우수성 체험사례는 ‘신한류’ 바람을 타고 서서히 파급됨. 菜食은 福을 짓는 행위임.
○ 명상은 정신집중효과를 뇌과학적으로 입증함. 창조란 최초의 생각임. 그것은 좌선 ! ‘영혼의 샤워’인 무한심연의 세계에서 찾을 수 있는 연구 수행자의 결실임. 최고나 최대, 유일과는 다른 측면인 心源(니밋따 명상)에서 찾을 수 있음.
□ 기대효과
○ 개인적 접근인 혼자있기 훈련 장소 숲 명상은 비대면 사회에서의 숲 활용을 통한 국민의 심신 건강 유도
○ 기후비상 대응을 위한 자연친화적 숲 육성과 조림국가에 기한 재목 자급자족 기회
○ 숲에서 수행하는 융합명상의 감성, 창의 효과성 입증
○ 도심 ‘숲공원’은 시민안식처, 맑은 공기 제공, 심신 건강증진 장소, 이웃과 소통 공간
○ 기후비상 대응과 도심열기 저감 공간, 저탄소 기여, 온실가스 저감 효과
참고문헌
김광석, 이현지.(2015). 「세계주요국의 저탄소도시정책 동향과 시사점」『건설경제』 제79권, 국 토연구원 : 81-89.
김정호.(1993/1994). 「인지과학과 명상」『인지과학』 제4-5권 : 53-84.
서정화, 이종수.(2019). 『블록체인 도시행정』지식공감.
이종수, 박해봉.(2022.2).『블록체인 인공지능 融合행정』한누리미디어.
이종수(2022.9). 「노년 불자, ‘創意, 感性融合명상’」『현대생활속에 불교사상과 그 실천방 안 모색』(유튜브 동영상).
______.(2022.7). 「노년 불자, ‘創意, 感性融合명상’」『현대생활속에 불교사상과 그 실천방 안 모색』교불연 : 434-457.
이종수 외.(2021.12). 『공평국가 : 민주개혁정부』홍익세상.
______.(2021.5). 「창의, 감성 함양을 위한 融合명상」, 『미래융합교육』전주교대 : 1-25.
______.(2021.2).「코비드-19면역 融合명상」,『봉은 판전』제160호, 봉은사 : 34-36.
______.(2021), 「Corvid-19 인천음식 면역 스토리텔링」,『2021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자료집 (2)』 : 201-209.
______.(2020.11). 「염불과 冥想融合 효과분석」,『교수불자연합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교불연 : 253-277.
______.(2020.3). 「포스트휴먼과 奉恩讚佛融合冥想」,『봉은 판전』제149호,봉은사:48-51.
______.(2019).「인지과학과 융합명상」,『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제25권 2호 : 52-80.
______.(2019.6). 「봉은남성합창단 찬불가 스토리텔링」,『봉은 판전』제140호, 봉은사 : 44-47.
______.(2019.3).「지능정보사회 감성·創意融合」,『감성연구』제18집, 전남대 : 121-156.
______.(2018.9). 「봉은 하안거 스토리텔링」,『봉은 판전』제131호, 봉은사 : 40-42.
______.(2018.12). 「4차산업혁명과 融合명상」,『한국지성과 불교』(사)한국교수불자연합 회: 163-170.
______.(2018.8). 「화성시 창의교육의 차별화와 진로」, 「화성창의지성」5호, 화성시.
______.(2018), 「안산 해양융합인문학」, 『제9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자료집』
______.(2016.6). 「영의정 이원익의 청렴행정 스토리텔링 힐링 효과 분석」,『인성교육연 구』제1권 제1호,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93-126.
______.(2015.12). 「템플스테이 미러뉴런 스토리텔링 힐링 : 명상과 사찰음식 공감체험을 중심으로」, 『창조산업연구』, 제2권 3호, 안동대 : 51-74.
______.(2015.6). 「관료병 치유의 도가적 접근」, 『공공정책과 국정관리』제9권 1호, 단국 대 사회과학 연구소 : 21-53.
______.(2015). 「관료병의 오리청렴 스토리텔링 힐링」, 『퇴계학과 유교문화』, 제56호 : 경북대 퇴계학 연구소 : 241-278.
______.(2014). 「관료병의 명상 스토리텔링 힐링」, 『감성연구』, 제8집 : 81-124.
______.(2014).「관료병의 오리청렴 체험 힐링사례연구 : 미러뉴런과 공감구조를 중 심으로」,『동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정책학회 : 385-406.
______.(2002). 「21세기 GNR 시대의 생명윤리 정책방향」,『국가정책연구』제16권 1호, 중앙대 국가정책연구소 : 19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