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世紀 글로벌文化와 行政리더십
이종수(중앙대 행정대학원)
Ⅰ. 21세기 글로벌문화 리더십의 변화 動因
정보화: 무시간, 공간, 세계화: 무국경, 지방화: 개성화, 다원화, 다양화시대임. 정보화는 특히 세계문화를 엮어주면서 문화의 차이를 노정시킴. 문화는 비가시적인 경계를 가지며, 구체적인 우리 삶의 상황이며, 세계를 경험하는 경험의 창문임과 동시에 인간에게 뿌리와 닻을 제공함.
1. 世界文化
가. 지식의 폭발 나. 테크놀로지(TV, 디지털 등) 다. 변화의 가속화와 M&A
라. Globalization & Localization :
Global화 : 스웨덴, 네델란드, 싱가포르, 독일 등
Local화 : 필리핀, 미국, 일본, 호주, 브라질 등
사례 1 : 글로벌기업의 문화접근 실패사례로 월마트와 까르푸를 들 수 있음.(오세조, 중앙일보, 2006.5.26) 매출규모 세계 1,2위 기업. 국제시장의 성공요인은 첫째, 자사경쟁력의 표준화와 둘째, 현지시장 적응임. 그러나 월마트는 미국식운영방법 고집(표준화), 까르푸는 한국현지적응(로컬화)에 초점. 월마트는 현지적응 실패, 까르푸는 한국유통관습과 소비자정서에 잘못 적응해 자사강점 창출에 실패함.
사례 2 : 행자부와 총무처, 재경부 등
2. 國家文化
인간의 현실적인 생활무대는 로컬임, 글로벌 세계 여행의 출발점이 로컬임.
가. 역사 나. 지리
다. 종교 : 道敎的 리더십은 일(一), 중(中)을 중시. 행복은 한(한)을 자유롭게 순환시킬 때 얻어짐. 도교적 리더는 자신이 리드하는 지도 모르는 방식으로 남을 리드함.
라. 경제 마. 정치 바. 심리 사. 시간 아. 관계
3. 企業文化
가. 목적 : 어디로 가고 있는가(존재이유) ? 나. 계획 : 어떻게 도달하나(중, 장기 등) ? 다. 네트워크 : 어떻게 협력하나(사람, 정보, 기술의 연계) ? 라. 도구 : 어떤 자원을 필요로 하나(인적 자본의 중시) ? 마. 결과 : 어떻게 성공을 측정하나(결과의 중시) ?
4. 리더(십)의 문화와 21세기 普遍的 리더십 特性
가. 자신의 이해와 평가 : 개방성, 정직성, 실천성, 자신감, 열정
나. 협동과 인적 네트워크 구축 : 도전심과 협동성
다. 회사자원의 동원능력 : 동기부여, 임파워먼트
라. 문화적 자질 : 문화적 차이의 인식과 활용(Business는 글로벌이지만, Market은 Local임)
5. 전세계로부터의 지식 습득
- 개인리더(십)의 특성과 기여점(特殊性)을 인식
- 전세계의 우수문화(普遍性, 세계문화공통성) 토착화와 주체적 개발
Ⅱ. 英國과 美國의 리더십 對應戰略
제1절 영국의 리더십 변화 요인과 대응전략
1. 리더십의 의미 : 사회적 영향력 과정(social influence process)
2. 리더십 변화의 요인
가. 변화하는 환경 나. 리더십 초점의 변화 다. 관리와의 구분 라. 새로운 리더십의 모든 계층적용(노동교육원, 2003)
3. 리더십의 역할
가. 변화와 개혁의 주체 나. 조직역량과 성과의 제고 다. 인적자원관리 수단의 통합
라. 리더십의 역할은 상황에 따라 다름
4. 영국의 공공부문 리더십 개발
가. 중앙공무원(CIVIL SERVICE)
나. 리더십 개발전략
1) 리더십 유형의 정의 2) 효과적 프로그램의 정립 3) 개방적 공무원의 창조
다. 새로운 리더십 사례
1) 고위공무원단(SCS)의 역량 2) 새로운 공무원 리더십
제2절 미국의 리더십 대응전략
1. 왜 리더십이 중요한가 ?
가. 혁신적 해결의 요구 : 조직구성원들의 최상의 아이디어 도출
나. 창조적 해결 : 협력적 리더십으로 헌신과 자발적 지원의 유도
다. 조직원의 선택성 : 불확실 사회의 상호의존성 심화
2. 고위직 리더십 기술배양과 전략
가. 변화의 주도(leading change) 나. 사람의 주도(leading people) 다. 결과주도 (results driven) 라. 경영적 수완(business acumen) 마. 연계와 의사소통(building coalitions and communications)
3. 고위직 리더십 여행
가. 관리개발센터 나. 리더십 잠재력개발세미나 다. 감독자 리더십세미나
라. 신규관리자 세미나 마. 관리능력개발세미나(EDS) 바. 고위관리자개발세미나(LDSP) 사. 민주사회를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
4. 고위직 리더십 훈련사례
가. 민주사회를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 나. 지도자는 전인적 인간이며 전체조직원을 이끈다. 다. 학습은 기대의 실패에서 나온다. 라. 모든 사람이 교사이며 동시에 학습자이다. 마. 합숙환경이 공동의 견해를 촉진한다.
5. 리더십도전과제를 통한 응용학습 : 4가지의 질문
가. 무엇이 나의 핵심가치인가 ? 나. 우리조직의 목표는 무엇인가 ? 다.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목표는 무엇인가 ? 라. 내 안에서 이루어져야 할 변화는 무엇인가 ?
6. 21세기를 위한 역량들
가. 학습기술 나. 훈련과 능력개발의 유연성
Ⅲ. 韓國의 行政리더십 發展方向
한국행정은 국가경쟁력 추락, FTA, 분단현실, 국론의 분열, 국제외교의 미흡 등의 환경에 처해 있음.
1. 행정조직적 특징과 변화 요인
가. 조직구성원 특성 : 지식노동자 나. 조직운영 전반 : 정보기술 도입(김호섭외, 2002)과 조직관리의 변화 다. 조직활동 범위 : 無 시간, 공간성, 경계의 모호성, 경쟁의 세계화 라. 조직목적의 변질 : 이윤추구 이외, 고객요구의 민감성 마. 조직환경 : 급격한 환경의 변화와 복잡성에의 대응 모색
2. 국정의 변화관리와 리더십 대응방향
孔孟과 老莊의 철학, 한고조 劉邦과 唐의 이세민, 조조, 마키아벨리적 접근 요
가. 사회구성원의 다양성(plural society)에 대한 효율적 갈등관리능력과 통합적 리더십 : 예컨대 국책사업에 대한 통찰력, 정보관리, 추진력, 조정력 등
나. 사회, 윤리적 혼돈속의 도덕적 리더십(싱가포르 이광요, 중국 원자바오 총리), 곧 신뢰의 리더십임.
다. 균형적 인사관리 리더십 : 조조의 求賢令
라. 전문적 정보화 리더십 : 상호연계적 리더십(internetworked)(김호섭: 276), 공유된 비전의 개별적 수행자로서의 리더십
마. 개혁지향의 리더십 : Ruler가 아니라 쇄신적, 문제해결적 리더
바. 민주적 리더십 : 이세민의 리더십
사. 디지털환경의 도래와 여성리더십 :
Ⅳ. 결 론
결론적으로 21세기 公私部門 리더의 資質이라면 첫째, 孔孟의 도와 덕으로 浩然之氣(內功과 炁)를 키워 외모를 치장(道德的 리더십)해야 함.
둘째, 개인적 창과 방패(厚黑과 마키아벨리즘, White lie, 유머 구사능력)를 끊임없이 수련하여 현실적 조직 장악력을 키워 나가야 할 것임.
셋째, 주요 정책결정의 원리로서 이세민의 듣기 중심, 민주적 리더십(8:2법칙)의 내면화(諫言의 수용)
끝으로, Global mind, Global culture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개인적 리더의 資質(광범한 정보안테나의 활용과 전문성의 확대: 전문지 구독, 인맥구축, 외국어, 컴퓨터 분석능력, 건강, 종교와 고난의 극복)을 끊임없이 연마해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