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5.5(불탄일)-6.25.
玄 牝 修 鍊 要 訣
序 言
인간은 ‘으앙’(呼)하고 태에서 떨어져 나오고 ‘흐'(吸)하며 세상을 떠난다. 결국 삶이란 이와 같이 호흡(숨)에 달려 있는 것이다. 심신상태에 따라서 숨은 여러 가지 모습을 띤다. 따라서 숨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쉬어야 하며, 그 현대적 효과와 정신세계에 미치는 여러 가지 효과들을 仙道的 관점에서 접근하므로서 심신의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등으로 시달리는 현대인들의 心身情안정화 방안을 찾고자 한다.
仙道란 性을 다하여 命에 이르는 학문이라 했다. 성(性)의 불로 無明의 苦海(氣海)를 숨(風)으로 태워 上丹田에 淨土와 太極, 眞空을 이루고자 하는 실천적 접근이다. 우리들 인간 苦海의 삶에서 그나마 하루 한 시간여의 炁冥想(丹田呼吸)을 통해 심신을 안정시키고, 정토를 향한 준비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都心의 옹달샘에 다름 아님을 깨달아 기(炁)를 찾는 ‘길없는 길’과 상전의 해와 하전의 달, 곧 건곤합체(乾坤合體)의 세계를 찾아 떠나는 脫俗의지의 실천이다.(타종교: 수련구체성 부재)
學徒는 첫째, 무엇을 배울 것인가를 명확히 알고, 둘째, 학습해 나가면서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가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끊임없이 보충해 나가는 의지가 강해야 한다.
본서는 단전호흡 초학자의 자습용, 자기진단용을 목표한다. 환언하면 수련자가 언제 어느 곳에서나 스스로 수련하기 위하여 약 100쪽 내외로 단전수련의 핵심만 체계화하여 입문에서 소주천에 한정, 小周天의 이해와 연단, 실천 체계화를 위한 핵심적인 口訣, 要訣 요목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특히 구체적 실천내용을 중심으로 眞髓만을 요약 기술하여 丹道를 이해하고자 하며, 소주천을 이루고자 하는 초보자의 등불이 되는 동시에 자신의 수련을 체계화 하고자 함이 주요 목적이다. 이와 같은 접근의 이론적 근거로서는 『金仙證論』(小周天)과 『慧命經』(大周天),『性命圭旨』 등을 주로 하고(입문자는『金仙證論』과『性命圭旨』필독), 藏經閣(www.tqg.co.kr), 기타 丹經을 참고하였음을 밝힌다. 이 고전 서적들을 10여 회독 이상하며, 수련을 병행하는 한편 기타 자료들을 탐독하면서 본서를 준비하였다. 그렇다면 약 4년여의 사유와 수련실천의 결과물들로서 다소 서두른 감이 없지 않다.(출간은 2007년 3월을 목표한다)
필자는 20, 30대에『般若心經』과 『道德經』을 접한 이래 40대 중반 들어 인연이 닿아 丹田呼吸에 입문하여 2006년 5월 현재 개인적 수련경험 4년차를 맞는다. 그 동안 새벽녘과 공원에서, 버스와 지하철 등에서 척추를 바로 세워 守視, 返聽과 의수단전을 의념해 왔다. 그런 와중에서 범어사 兩翼大禪師께서 坐脫立亡에 드신 일로 인하여 더욱 분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어쩌면 세상일이 어려워질수록 그 打開策으로서 氣海丹田의 無明을 걷어 내고픈 일념과 마음의 빛과 眞空의 깨달음에 대한 念願이 더 더욱 깊어가는 지도 모른다. 그 과정에서의 의문과 막힘, 失意, 正道, 邪道의 의문, 혼란스런 유파의 다양한 입장 등을 명쾌하게 구분하기가 어려웠던 점 등에 대한 답을 丹經古典과 현대 수련서를 중심으로 제시하고, 古典의 수련단계별, 절차 중심으로 要目을 파악하며 三敎統合(儒佛仙)의 在家者의 입장에서 개요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正道를 찾고, 바르게 가고자 스스로 仙人들의 口訣을 기준으로 확인, 檢證받고자 하는 몸부림과 의문의 결과물들로서 자신을 채찍질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라고 보면 틀리지 않다.
다른 한편으로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仙道 수련장이나 종교단체 모임을 그만 두게 된 것도 한 이유이다. 종교든, 철학이든, 학문이든 심지어 丹道의 깨우침도 돈 없으면 아무 것도 안되는 세상에서 - 돈이면 神도 부린다 - 無錢書生이 체념할 수 있는 마지막 자리, 더 끝갈 수 없는 삶의 자리에서 비슷한 처지, 鐵壁같은 세상에서 “鐵牛에 바늘을 꽂고야 말겠다”는 각오와 생의 의문을 가진 자신과 동료 후학들에게 털끝만큼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맨손으로 깨우침을 이루고자 하는 자세로 본서를 구상하고 집필한다. 앞서 가신 仙人, 선각자의 꾸지람과 깨우침의 말씀 있으시길 삼가 기원한다.
2006년 6월
가락동 웃말공원 나뭇가지 사이의 반달을 보며 玄谷
-目 次-
머리말
제1장 道의 意義
제1절 도의 개념
제2절 老壯과 儒, 佛, 仙
제3절 도의 유파와 본서의 관점
제2장 玄牝의 修鍊體系
제1절 현빈의 의의
1. 현빈의 개념
2. 현빈의 위치와 유사용어
제2절 현빈과 현빈호흡의 관계
제3절 현빈호흡 방법
제3장 玄牝修鍊과 小周天의 段階
제1절 현빈수련의 특성
1. 규지 참조
2. 규지 참조
3. 규지 참조
제2절 소주천(練精化炁)의 단계별 특성
1. 토고납신
2. 채약
3. 소주천
4. 소주천의 인증(可와 否)
제3절 소주천 이후의 段階
1. 大周天(練炁化神)
2. 練神환허
3. 연허합도
제4장 玄牝修鍊 口訣과 檢證口訣輯(集)
제1절 현빈 口訣
제2절 本音과 六祖壇經
제3절 修練 經過 (개별경험 검증사례)
제4절 수련 환경
1. 장소
2. 시간
3. 기타
제5장 坐脫立亡
제1절 한국의 좌탈입망
제2절 중국의 좌탈입망
제3절 인도의 좌탈입망
제5장 결론 : 道(진리)란 성단과 좌탈
< 부록 1 > 藏經閣
http://tqg.co.kr
제1장 玄牝의 意義
제1절 도의 개념
제2절 도의 유파와 본서의 관점
제3절 老壯과 儒, 佛, 仙
제2장 玄牝의 修鍊體系
제1절 현빈의 意義
1. 현빈의 槪念
현빈이란 하늘과 땅으로서 단전에 천지기운이 모임을 말한다.(노자) 玄이란 眞氣를, 牝이란 眞精을 말한다.
- 축기(황원길, 낙육당어록)란 기수련의 기초를 닦는 공부로, 밖으로 몸을 닦고, 안으로 몸을 닦으면서 호흡과 단전자리를 닦는 것이다.(http://blog.naver.com/navnagne?redict---)
- 토고납신이란 토고(呼)는 뱉기를, 최대한 복부를 움츠리고, 혀끝은 아랫니 뒤편에 댄다. 납신(吸)은 복부의 최대한 팽창, 혀끝을 입천장에 대고, 들이 쉴 때 기운이 하단전에 닿는다고 의식한다.
- 숨은 細(미미하게)
長(길게),
深(깊게 : 하단전--> 會陰 --> 龍泉까지)
均(出入의 均衡)의 원리를 따른다.
1. 호흡수련의 원리
가. 용호상박의 원리
범(虎)은 陰의 상징인 산에서 살며, 주로 야간에 활동하기 때문에 들이 마시는 숨이 인체의 기맥(任脈)에 따라 하단전으로 --->
내쉬는 숨은 인체의 督脈을 따라 상단전으로 올라가는 모습(陽)과 그 흐르는 척추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용(龍)을 상정하였다.(박태진, 2001:76)
-->>
龍虎相搏이라는 말은 호흡수련의 과정을 용과 범이 서로 끌고 당기는 모습을 비유하여 < 그림 1>에 제시한다.
< 그림 1> 용호의 순행도
|
자료 : 박태진.(2001: 77)
나. 선호흡과 영정관법
호흡은 조용히(靜), 깊게(深), 코 대신 단전을 통하여 호흡한다고 생각한다. 入息은 ?, 細, 均, 深 으로, 出息은 靜, 綿, 緩, 長의 원리에 따른다. 전신의 무게를 몸의 가장 밑에 두었다고 의식한다.(범어사, 자료 삽입)
2. 현빈의 위치와 유사용어
제2절 현빈과 현빈호흡의 관계
제3절 현빈호흡 방법
1. 小周天
가. 정좌후 대맥운기를 하여 단전에 진기를 생성시킨다.(http://blog.naver.com)
나. 생성된 진기를 단전에서 회음혈로 운기시킨다. 회음혈은 항문과 생식기 사이이다. 7할의 마음은 단전에 두고, 3할의 마음을 회음에 둔다. --->
다. 회음혈에 열감이 발생하면 그것을 단전과 연결하여 단전의 기가 회음혈로 가는 것을 알아 차린다. 잠시 회음혈에 머무른다.
라. 다음에 꼬리뼈 부근인 미려혈(장강, 쿤달리니)로 운기한다. 미려혈에 진동이 생기고 열감이 발생하면 혈이 열리는 징조이다. 미려혈에 감이 오면 단전에서 회음, 미려에 이르는 길로 마음이 늘어져 있어야 한다.
<그림 ? > 삽입
blog. 인체그림도 --------->
마. ?????
金仙證論, 慧命經 참조
제3장 玄牝修鍊과 小周天의 段階
제1절 현빈수련의 특성
1. 단전호흡의 이유
첫째, 呼吸으로 天氣를 하단전에 당겨 元氣와 조합시켜 純精이 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순정을 督脈을 통해 상단전으로 올리는 것이 진정한 단전호흡이다.(宋文, 진선향기회,2005)
둘째, 호흡이 들어오면 心臟의 온기로 腎臟의 수기운(水氣運)을 데워 순정이 脊椎(曹溪)를 오르는 것을 도와 주는 데 있다. 즉 진기호흡의 이유는 水昇火降을 돕는 데 있다.
제2절 소주천의 단계별 특성
1. 소수천이란 미려에서 精(元精)을 올려 니환으로, 니환에서 하단전으로 기를 내리기를 반복하는 기의 운행법이다.(송문,2005)
2. 소주천 檢證
가. 소주천이 실행(성공)되면 향기가 난다. 그렇지 않으면 소주천이 아니다.
나. 신체적 감각으로는 등줄기(督脈)에 뜨거운 열기를 느끼거나, 머리부분이 시원한 느낌이 있어야 하다.
1. 토고납신 2. 採藥 3. 소주천 4. 소주천의 인증(可否)
제3절 소주천 이후의 단계
1. 대주천(연기화신) 2. 연신환허 3. 연허합도
제4장 玄牝修鍊 口訣과 검증구결집(集)
제1절 현빈구결
제2절 본음과 六曹 단경
1. 오조와 육조
五祖 홍인은 은밀하게 6조 혜능을 불러, 『금강경』을 설하고, 강의 중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라”(應無所住而生其心)는 말에 혜능은 크게 깨닫는다.
제3절 修練 經過(개별 경험 검증사례)
1. 2002년 7월: 교육개발원 출발
2. 2006년 6월 현재(만 4년): 매월 약 25 일, 매 50분(호흡수 170여회) 수련 중
가. 등줄기 昆蟲 스멀 기어가기 ! 丹田 끼익 !, 咽喉 꾸르륵, 炁의 逆流 !, 下丹田 꾸륵 !
나. 結跏趺坐 편안 !, 50분 가부좌 편안 !
다. 만 4년 현재, 느려지는 深呼吸이 서서히 배꼽 근처로 내려 가는 중임. 무의식중 복식호흡
제4절 修鍊環境
1. 장소의 중요성
주택, 산, 야외, 사찰 ?
2. 시간의 중요성
반드시 밤 11시 이후부터 낮 1시까지 수련 요망, 기타 시간은 無益
3. 자세의 중요성 : 척추를 반듯이
4. 왜 ? : 깨달음의 구체성과 그 내용의 전파
5. 무엇을 ? : 바른 숨과 각성
6. 어떻게 ? : 호흡수련, 아나파나사티, 문화와 무화, 강약의 조절
제5절 坐脫立亡
2006년 5월 6일 범어사 兩翼大禪師께서 坐脫立亡에 드셨다. 효봉, 한암, 만암, 구산, 서옹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http://blog.naver.com/post/print/postprint.jsp)
선가에서 좌탈을 중시하는 이유는 마지막 죽는 순간의 의식상태가 다음 환생과 관련된다는 死生觀에 기인한다. 좌탈을 한다는 것은 죽는 순간에도 각성상태에서 평온하게 죽음을 맞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포와 混沌속에서 죽음을 맞이하면 그 상태가 연속되어 환생시에도 非覺醒상태로 태어나지만, 죽음을 바라보며 죽는 죽음은 다시 還生시 각성상태로 태어난다는 것이다.
예컨대 중국의 등운스님은 나무줄기를 잡고 서서 입적하셨고, 6조 혜능은 온몸이 사리였다고 한다.
1. 한국의 좌탈입망
2. 중국의 좌탈입망
3. 인도의 좌탈입망
제5장 결론 : 道 (진리)란 좌탈이다.
< 부록 1 > 藏經閣
참 고 문 헌
금선학회.(2004).『금선기공』지혜의 나무.
김낙필.(2000).『조선시대의 內丹思想:권극중의 도교철학적 사유와 그 전개』한길사.
김두재역.(1994).『楞嚴經』민족사.
老子/莊子.(1990). 『老子/莊子』삼성출판사.
박태진.(2001).『天氣와 地氣』문화마당.
방도어록 참조
송 문.(2005?).『周天의 이론과 실제』眞仙香氣會.?
楊 力.박현국외역.(2000).『中醫運氣學』법인문화사.
양 익.(2006). 口訣, 說法 등 접근가능한가 ? (2006.5.6일 立亡)www.bulmudo.org
양청려.(1995).『大成捷徑』여강출판사.
오충허.(1994).『天仙正理』여강출판사.
오충허.(1995).『仙佛合宗』여강출판사.
유인학.(2005).『단전수련의 길잡이』기린원.
유화양.(1993).『金仙證論』여강출판사.
유화양.(1991).『慧命經』여강출판사.
윤진인의 제자.(2005).『性命圭旨』한울.
위빠사나, 아나파나사티 !!!
(도교 전진도 용문파道觀) 藏經閣, 正統道藏目錄, 藏外道書目錄
(http://tqg.co.kr/jingdian.htm)
莊 周.(1978).『莊子』동서문화사.
정태혁역.(1990.12).『붓다의 호흡과 명상 1』정신세계사.(안반수의경 상)
정태혁역.(1993).『붓다의 호흡과 명상 2』정신세계사.(안반수의경 하)
정호영역.(1994).『金剛經』민족사.
정 화.(1999).『仙道內功術』서림문화사.
조피진.( ? ).『性命法決明旨』?.
혜 능. 청화역주.(2004 ?).『六祖壇經』 광륜출판사.
황원길.( ? ).『도덕경정의』 ?.
황원길.( ? ).『낙육당어록』 ?.
황 풍.(2000).『수련요결』석문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