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방잠재자원 조사지표 연구

현곡 이종수 2006. 10. 3. 09:54

 

 

한국 농촌지역 場所資源 評價 툴 개발연구

- 지역의 역사문화 자원을 중심으로 -


                                             李 宗 秀(중앙대 행정대학원)


- 目    次 -

Ⅰ. 서  론

Ⅱ. 농촌지역 장소자원 평가 툴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농촌지역 장소자원 평가 툴 선행연구 분석

Ⅳ. 농촌지역 장소자원 평가 툴 모형 개발

Ⅴ.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Ⅰ. 序  論


  한국의 농촌지역은 1970년대를 정점으로 점차 도농간 발전격차가 심화되고, 한국지역사회의 지속성위기가 심화되었다. 환언하면 대부분의 한국 농촌 지방사회는 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농촌인구의 극단적 고령화, 농업의 국제경쟁력 약화, 정부지원능력의 한계 등에 따른 농촌의 황폐화로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상실하게 된 것이다.(문국현, 2005 : 21-22) 이른 바 지역의 진공, 또는 실종의 시대(정기용, 2005 : 35)이다.

  도, 농간의 소득격차, 인구 감소 등이 심화되고, 특히 인구통계를 보면 예컨대 농가인구비율은 1990(15.5%), 2002(8.5%), 고령자 비율은 60세 이상 1990(17.8%), 2002(38.4%)이다.(서병훈, 2006)

  이처럼 1980년대 이후 가속화되어 온 농촌지역의 저발전 문제가 심각하여 정부에서도 여러 가지 농촌지역 혁신정책들을 실행 중에 있다.(박경, 2006. 7 : 16-17; 행자부 뉴스, 2006. 8. 4; 네이버 뉴스, 2006. 6. 8)

  국내에서도 1980년대부터 농촌소득원으로 관광농원, 농가민박, 휴양단지 등을, 2000년대 들어 마을단위 농촌관광 본격화, 예컨대 농림부(녹색농촌체험마을), 행정자치부(아름마을), 해양수산부(어촌체험마을), 농촌진흥청(전통테마마을), 산림청(산촌개발마을), 문화부(문화도시), 건교부(혁신도시) 등 현재 다양한 형태로 집행 중에 있다.1)

  본 연구는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저발전과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제도적, 자구적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서 지역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지닌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개발필요성을 중심으로 지역 잠재자원2) 활용을 위한 자원의 의의와 외국의 사례를 살펴 본 후 지역자원개발 평가 툴을 개발하는 데 있다.

  21세기 환경은 개별 농촌들의 지역적 차별성을 강조할 수 있는 잠재력개발을 강요하고 있다. 따라서 각 지역들은 자신의 잠재력에 대한 자평과 혁신노력이 가속화 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쉬운 것은 이와 같은 지역자원을 평가, 진단하고, 발전적 접근을 가늠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지역자원 평가 툴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다. 첫째, 특정 지역의 장소감 연구이다.(이용균, 2005 ; 이희연, 2005 ; 최막중, 김미숙, 2001) 둘째, 농촌잠재자원 연구이다.(한경수, 1999 ; 김현호, 2003 ; 김현호, 한표환, 2004 ; 백선혜, 2004 ; 국토연구원, 2003 ; 김태환, 2004, 2005 ; 최수명, 한경수, 황한철, 1999 ; 전영미외, 2003 ; 서교, 이지민, 김한중, 정남수, 조순재, 이정래, 2003 ; 전영미, 임상봉, 박은식, 2002 ; 박은식, 박덕병, 이한기, 2003 ; 서인원, 2003 ; 박창원, 권혁정, 주경촌, 2004 ; 백선혜, 2004 : 45-48 ; 윤원근, 김진경, 2005 ; 이희연, 2005 ; 이영은, 김옥연, 이태현, 2005 ; 이용균, 2005 ; 김태환 외, 2005 ; 고선영, 2006 ; 박경, 2006)

  지역 잠재력분석은 지역의 접근성, 시장성, 자원성 등 3가지 평가지표를 토대로 한다. 접근성 등이다. 접근성은 지역인접 고속도로, 국도, 철도, 공항 등의 수, 수도권과의 거리, 시장성은 인접도시(대, 중, 소도시)의 수, 지역관광 이용권의 인구 규모, 자원성은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의 수 등이다.(이은영 외 2인, 2005 ; 강원개발연구원 : 14 ; 111-112)

  셋째, 인위적 장소자산형성 가능성 모색과 지역자산 마케팅 활성화 등의 대안을 모색할 수 있다.(최막중⋅김미옥, 2001 ; 김현호, 2003 ; 백선혜, 2004 ; 이찬구, 2005 ; 이희연, 2005 ; 김현호⋅한표환, 2004 ; 지역재단, 2005 ; 유승권 2006) 이 중 백선혜(2004)는 장소자산의 인위적 형성을 위한 비교연구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물들은 주로 지역개발을 경제적, 관광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어 지역 고유의 역사문화자원 개발과 역사문화자원의 가치를 진단, 평가, 개발할 수 있는 평가 툴은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이종수, 2006 ; 이현식, 2004 ; 광주시, 2002) 문화지표와 문화정책지표 등은 일부 이루어졌으나 지역문화자원 평가지표 연구는 미비한 실정에 처해 있어, 바로 이러한 지역자원 평가지표 개발 필요성을 중심으로 한 것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자 연구의 출발점이다. 첫째, 자치단체대상 역사문화자원 평가지표 부재 및 둘째, 자치단체 장소자원으로서의 역사문화 유산평가 지표의 부재가 그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의 유, 무형자산의 개발을 목적으로 지역의 유, 무형 지역자산의 재평가, 곧 잠재자원 발굴과 개발을 위한 잠재자원의 범위와 그 평가 툴(tool)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지방의 정체성 확립수단으로서의 개발이 주요 목적이며, 관광자원개발은 부차적임을 숙지해야 할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된 실증적인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연구범위는 전국의 농촌지역(기초자치단체)의 역사문화자원을 대상으로 분석하며, 연구 기대효과로는 각 자치단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유, 무형의 자원평가를 위한 방안과 그를 통한 지역잠재자원의 활용방안을 가늠하는 데 있다.3) 환언하면 각 지방의 역사문화자산 환경진단과 자원평가를 위한 툴 역할과 그를 통한 지역 잠재자원의 소재개발, 진단과 평가 수단 및 지역의 잠재적인 역사문화상품 경쟁력 평가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는 이론적 연구수행에서 머물러 농촌지역 장소자산의 평가지표 개발, 개발지표의 필요성과 중요성, 최소한의 지표 내용을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제시했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으나 그 적용을 시도하지 못한 것이 한계로 남는다. 또한 평가지표 개발에 한정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지수 수준까지 연구하기 못하고 몇 가지 예시만 하였다. 후속연구과제로 넘긴다.


Ⅱ. 농촌지역 장소자원 評價 툴 연구의 이론적 배경


1. 농촌지역 장소자원의 의의와 유형


가. 장소자원의 의의와 유형


  장소자산이란 한 장소가 가지고 있는 장소의 요소 중 긍정적 요소, 곧 장소의 매력으로 기능을 하거나 혹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어 개발시 매력적인 상품이 될 수 있는 유, 무형의 자원이다. 예를 들면 도시의 물리적 구조, SOC, 도시공공서비스, 지역의 매력성(역사, 문화, 이벤트, 건축물, 행사 등) 등이 그것들이다.

  특정의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장소자산의 요소는 첫째, 물리적, 환경적 요소 둘째, 인적, 문화적 요소 셋째, 정서적, 상징적 요소 넷째, 상대적 요소로 나뉜다.

  이 중 네 번째 상대적 요소는 다시 위치적 자산, 잠재적 자산 및 상대적 가능성 자산으로 구분된다. 잠재적 자산은 현재 자산으로 인식되지 않거나 심지어 부정적 요소로 인식 되고 있는 장소 요소 가운데 시대변화에 따라 긍정적 자원으로 변화될 수 있는 자산이다.(백선혜, 2004 : 45)

  장소자산은 비복제성, 장소정체성, 비대체성, 영역배태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 환언하면 영역자산, 경쟁자산, 지역 의존적 자산, 장소 배타적 자산, 향토 자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김현호, 2003. 3 : 85) 이처럼 장소자산은 지역특성과 고유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그것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자원발굴이 요구된다.

  근래 들어 생태, 환경적이면서 문화적인 자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왜냐하면 생태환경자산은 특정지역의 생태, 환경이며, 문화자산은 문화적 특수성을 띠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생태, 환경 문화자산이 장소차별화를 이루는 중요한 요인이다.(김현호, 2003. 8 : 162)

  21세기 신광광은 생태, 체험관광을 기조로 한다. 현대인들은 균형적인 시설의 편리성보다 지역의 독특한 대상들, 곧 차별화 된 관광을 선호하고 있다. 지역정체성이 지역차별화의 주요 핵심이다.(Morgan & Pritchard, 2002) 독특한 문화를 찾는 신광광의 확산은 지역문화자산개발의 중요성을 암시한다.

  이것들은 유형의 기념물, 기념관, 동상, 고적 등과 무형자원인 종교, 습관, 풍속, 전설, 인간의 친절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자연자원은 산악, 계곡, 해안, 동, 식물 등이며, 인문자원은 문화재, 사찰, 정원, 근대적 시설 등이다.(강원개발연구원 : 9)


나. 장소자원 가치 평가 과정


  1) 평가 대상


  21세기는 지역의 개성화시대이다. 지역을 지역답게 하는 운동이 지방문화운동의 중심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태어나고 자라난 문화의 뿌리인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은 개성적인 지역 만들기의 가장 적절한 소재가 될 수 있다.

  전통적인 지역장소자산은 보편적이지 않고 특수하며, 다른 곳에는 없지만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명품, 명인 등으로서 지역별로 차별적인 매력적인 자원이다. 이들은 수 백년 이상 선조들에 의해 ‘점검’ 되고 ‘평가’ 받으면서 살아 공존하는 생명력 있는 우리 지방의 가치이다.(이상윤, 이종수 : 122)

  예를 들면 자연을 이용한 역사적 건축물, 근대 이전과 이후의 공공건물, 전통마을이나 민가, 고사, 지역이름관련 전설, 역사적 장소, 생가, 명소, 유적 등이 주요한 소재들이다.(이흥재, 2002)


  2) 평가 과정


  첫째, 각 지역별 장소자산의 가치평가이다. 각 지역별 장소자산가치 평가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마케팅이 가능한 요소를 추출해 내야 한다.(이희연, 2005 : 47) 생태, 환경 장소자산은 양질의 생태자산을, 문화자원은 지역이나 장소 특수적인 문화자산을 수단으로 사용한다. 문화적 자산의 경우 문화지구처럼 유물이나 유적 등 유형자산이나 연극제, 축제, 이벤트처럼 무형자산도 있다. 유형자산의 경우는 자산 가치를 발굴, 개발하여 마케팅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축제 등 무형자산의 경우는 지속성 개발이 중요하다. 둘째, 지역의 대표적 장소자산을 추출한다. 셋째, 각 지역간 장소자산 연계 개발방안을 모색한다.


다. 지역문화 자원의 선정 범위와 유의점


  농촌자원 개발시 우선적 중요사항으로는 차별화된 상품,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인근 관광시설과의 연계 강화 등이다.(전영미 외 5인, 2003 : 57)

  첫째, 가능성 있는 주제를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적으로 발굴, 개발, 확충해 나가야 한다. 지역의 역사문화 자산을 최대한 발굴하고, 현대적 의미를 부여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 둘째, 해당지역의 고유성과 독창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이들 지역의 브랜드로 활용가능할 정도로 상징성이 커야 한다. 셋째, 특정자원을 여타 자원과 결합시켜 시너지 효과를 유발케 해야 한다.

  이처럼 지역의 장소자산의 가치평가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마케팅 가능한 요소를 중시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지역의 고유성 추출(이희연, 2004 : 36) 둘째, 외부, 내부인의 인지도 셋째, 외부 장소자산과의 경쟁력 넷째, 지속적인 개발가능성 등이 검증될 필요가 있다.(이희연, 2005 : 48) 끝으로, 뚜렷한 장소자산이 없을 경우 인위적인 장소자산의 도입방안을 모색한다.


2. 장소자원 평가 툴 개발의 필요성


  가. 필요성


  농촌의 장소자산은 농촌지역주민들을 위한 개발, 개발을 통한 이익이 지역주민에게 돌아갈 수 있는 계획, 생태, 문화자원의 보전, 개발 등 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농촌지역 활성화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농촌지역자원의 중요성과 자원의 효율적인 지역자원 체크리스트를 토대로 한 자원평가 툴(tool)이 요구된다. 평가 툴은 첫째, 주민참여에 의한 개발 둘째, 지리적 여건에 부합한 평가 항목개발 셋째, 자원 DB화를 통한 자원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한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박창원 외, 2004 : 17)


나. 문화, 역사마을 지원 현황


  문화관광부가 지원하는 이 사업은 우수한 역사 문화적 소재를 발굴, 육성하여 관광자원화하고, 문화와 환경이 조화된 마을을 육성하고자 한다. 9개도에 각 1-2개 마을을 선정하여 (<표 1 >참조) 마을당 관광기금과 지방비 포함 10-30억원을 지원한다.(문화관광부, 2006 : 205-206)

                          < 표 1 > 문화역사마을 현황

년도

시,도

시,군,구

마을명(사업명)

관광진흥기금지원액

2004년

경상북도

안동시

군자마을

10억원

전라남도

영광군

효동마을

20억원

제주도

서귀포시

범환 잠녀마을

20억원

2005년

강원도

강릉시

학산마을(오독떼기, 학마을 가꾸기)

10억원

원주시

회촌부락(원주 매지 농악마을 ‘회촌’)

10억원

충청남도

서천군

동자북마을(소곡주 향기 가득한 문화역사마을)

30억원

전라북도

고창군

사등마을(검당영정지 문화역사마을)

13억원

정읍시

원촌마을((태산선비 문화마을)

7억원

경상남도

의령군

입산마을(백산문화역사마을)

13억원

통영시

문어포마을(통영 한산 대첩지 통제영의 마을)

7억원


자료 : 문화관광부.(2006). 『2005 문화정책백서』: 205-206.


3. 외국의 잠재자원 개발 사례


가. 외국의 지역 가꾸기 사례


  첫째, 영국은 역사를 활용한 마을 만들기를 중시했다.(이흥재, 2002) 좋은 건물을 보존 활용키 위해 ‘시빅 트러스트’ 를 구성하거나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는 등록 건축물은 시상도 한다. 이러한 운동은 주로 ‘지역발전협의회’가 주민 자발적으로 주로 추진한다.

  둘째, 이탈리아는 1970년대부터 도시중심으로 역사문화 마을가꾸기가 활성화된다. 보로니아의 상, 레오나르도 지구, 솔레리노 지구 등은 널리 알려져 있다.

  셋째, 중국은 역사문화도시제도를 실시한다. 1982년 도시계획조례에 의해 도시계획제도 속에 포함해 추진한다. 중국 국무원은 1982년 이래 99개의 역사문화 도시를 지정하였으며, 각 성청도 104개의 도시를 지정한 바 있다. 지정된 역사문화도시는 역사상의 저명한 도시, 민족문화도시, 정치, 경제 측면의 지명도가 높은 도시, 근대 혁명 역사도시 등 도시의 특성을 살린 도시 역사문화 자원에 초점을 둔다.

  넷째, 일본은 1980년대 말부터 지방의 역사 문화적 자원을 활용해 ‘고향창생운동’을 범국가적으로 추진했으며, 이 운동의 지역 활성화운동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되었다. 이 운동의 주체는 약 오천 개가 있으며, 이 중 1/2 이 지역 자주적 민간조직체이다.

  마을 만들기의 일환으로 역사문화거리를 조성해 나가면서 국가, 지방, 경제단체, 민간기업, 시민이 역할을 분담하여 추진한다. 지역단체들이 수행하는 사업을 두 가지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이흥재, 2002)

  첫째, 하드웨어적 사업은 역사거리 안내 표지사업(로고, 심벌 등), 역사문화의 지역조성, 자연 환경, 경관, 역사적 건물의 보존과 활용, 역사문화 거리 명소 만들기, 역사거리 모델 사업등이다. 둘째, 소프트웨어적 사업은 이벤트와 캠페인, 홍보, 역사문화 거리 안내센터 운영, 새로운 축제 개발, 지역간, 국제교류 활동 등이다. 


  나. 외국 장소자원 개발사례의 시사점


  외국의 사례에서 시사점과 성공요인을 찾으면 첫째, 지역의 특성화이다. 둘째, 지역별 향토자원조사위원회 설치와 조사 자료의 D/B화를 토대로 동 資源의 시장성과 경쟁력을 평가하고 있다. 셋째, 교육과 컨설팅을 중시한다. 넷째, 모범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표창한다. 다섯째, 정부의 향토자원 활용을 위한 법제적 지원 등을 들 수 있다.(김현호, 한표환, 2004. 12 : 166) 끝으로, 일본의 경우 5천 여개의 활동 조직체 중 약 1/2이 민간 자주조직이어서 민간의 참여가 높음을 알 수 있다.(이흥재, 2002)

  일본의 경우 지역 가꾸기 운동의 성공요인을 요약하면 첫째, 지역의 종합적 발전을 목표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경제, 사회, 문화, 환경적 발전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특히 지역문화와 역사계승을 중시한 것이 성공요인이다.(박경, 2006. 7 : 8-10) 둘째, 지역자원(농업, 임업, 물, 차, 역사, 문화, 자연, 스포츠 등)을 최대한 활용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일의 추진주체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했다. 자치단체가 지역혁신의 촉발자, 선도자, 조정자로서 기능 했으며, 이의 배경에는 중앙정부의 권한과 재정분권이 주요 동기가 된다.

  그러나 이것은 일면 자치단체가 주민의 역량부족을 이유로 독립적으로 추진한 결과라고 보여질 수도 있으나 지역주민들이 지역의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소재를 중심으로 한 주민요구(needs)를 수용했다는 점에서 ‘지역주도와 주민참여’의 성격을 띤다.

  이러한 지역 가꾸기 성공구조는 지역주민의 자긍심과 자신감을 키워 주웠다는 점에서 그 성과를 논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지역 가꾸기 책임을 민간에서 더욱 책임 있게 접근하고자 하는 의욕을 북돋아 주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자원개발의 합의 형성은 가능한 제도적인 조례 제정이나 민간추진기구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는 시사점을 시사 받을 수 있다.



Ⅲ. 농촌지역 장소자원 평가 툴 선행연구 분석


1. 선행연구 분석


  지역자원 평가 툴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다. 첫째, 특정 지역의 장소감 연구이다.(이용균, 2005 ; 이희연, 2005 ; 최막중, 김미숙, 2001)

  둘째, 농촌잠재자원 연구이다.(한경수, 1999 ; 김현호, 2003 ; 김현호, 한표환, 2004 ; 백선혜, 2004 ; 국토연구원, 2003 ; 김태환, 2004, 2005 ; 최수명, 한경수, 황한철, 1999 ; 전영미 외, 2003 ; 서교, 이지민, 김한중, 정남수, 조순재, 이정래, 2003 ; 전영미, 임상봉, 박은식, 2002 ; 박은식, 박덕병, 이한기, 2003 ; 서인원, 2003 ; 박창원, 권혁정, 주경촌, 2004 ; 백선혜, 2004 : 45-48; 윤원근, 김진경, 2005 ; 이희연, 2005 ; 이영은, 김옥연, 이태현, 2005 ; 이용균, 2005 ; 고선영, 2006 ; 박경, 2006)

  지역잠재력분석은 지역의 접근성, 시장성, 자원성 등 3 가지 평가지표, 예컨대 접근성 등이다. 접근성은 지역인접 고속도로, 국도, 철도, 공항 등의 수, 수도권과의 거리, 시장성은 인접도시(대, 중, 소도시)의 수, 지역관광 이용권의 인구 규모, 자원성은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의 수이다.(이은영 외 2인, 2005 ; 강원개발연구원 : 14 ; 111-112)

  셋째, 인위적 장소자산형성 가능성 모색과 지역자산마케팅 활성화 등의 대안을 모색할 수 있다.(최막중⋅김미옥, 2001 ; 김현호, 2003 ; 백선혜, 2004 ; 이찬구, 2005 ; 이희연, 2005 ; 김현호⋅한표환, 2004 ; 지역재단, 2005 ; 유승권 2006) 이 중 백선혜(2004)는 장소자산의 인위적 형성을 위한 비교연구를 발표한 바 있다.

  넷째, 지역자원으로서의 역사문화자원 평가지표와 그 연구필요성을 제기한다.(전라남도, 2001 ; 광주문화지표, 2002 ; 이현식, 2004 ; 오창섭, 1997)

  중앙정부와 광역자치단체의 문화지표 개발(문화관광부, 2002)은 일부 이루어져 왔으나, 기초단체의 경우 상당히 취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초단체 입장의 지역 역사문화 자원실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내용의 지표가 개발되어 활용됨으로서 잠재자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각 연구의 주요 내용을 < 표 2 >에 정리한다.


< 표 2 > 지역 장소자원 선행연구 주요 내용 비교

연구자

개념

주요 내용

고선영, 2006

- 장소자산이란 물리적 요소와 문화적 요서 및 관계적 요소의 총체임.

- 물리적 자원

- 문화적 자원

- 제도적 자원

-관계적 자원

김태환외, 2005

- 미 이용자원이란 시장에서 비교우위가 없어 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지역자원임

-일상적 지역자원

- 負의 지역자원

- 廢 지역자원

박창원 외, 2004

-특정 지역에만 존재

-지역자원 상호간 유기적 연계

-비시장적 성격

- 본래적 지역자원과 준 지역자원

- 일반자원과 특성화 자원

최수명 외, 1999

- 농촌마을이 보유하는 지방 잠재(력)자원

- 자연환경자원, 토지자원, 인문 사회자원

서교외, 2003

- 농촌지역의 어메니티란 자연환경, 농업환경, 역사적 기념물, 전통문화 등이 포함된 인공적 특성의 총칭

- 생명안전, 자연, 역사문화, 산업, 생활

이용균, 2005

- 한 장소가 갖고 있는 유, 무형의 모든 자산

- 자연환경, 문화, 사회경제, 제도

김현호, 2002

- 장소자산은 연성요소(soft factor)인 정치, 문화, 사회관계적 요소와 경성요소(hard factor)인 자연환경, 물리적 시설 등을 포괄하는 개념임.

- 문화자산, 제도적 정치자산, 물리자산

백선혜, 2004

- 한 장소가 가지고 있는 장소의 요소 중 긍정적 요소, 곧 장소의 매력으로 기능을 하고 있거나 혹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어 개발하였을 때 매력적으로 판매될 수 있는 유, 무형의 자원

- 물리, 환경적 요소,

- 인적, 문화적 요소

- 정서적, 상징적 요소

- 상대적 요소

이희연, 2004

- 장소자산이란 상품화, 소비화, 마케팅이 가능한 대상으로 지역발전의 한 수단임

- 지역경제 활성화

- 문화의 경제화

- 지역사회 통합화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3

- 역사문화 환경은 일반생활환경, 예술 환경이 오랜 시간 존속 보존되어 역사문화적인 의미를 획득한 환경이다. 

- 문화유적

- 역사도시, 마을

- 전통문화 창작 및 전수시설 등

전영미외 5인, 2003

- 농촌이 가진 고유의 자연환경, 사회 문화, 산업적인 자원의 총칭

- 자연, 휴양지, 친환경농업, 역사문화, 도농교류, 생산체험

한경수, 1999

- 지역자원이란 지역에서 파악 가능한 잠재력의 바탕요소

- 인문사회자원

- 토지자원

- 자연환경자원


* 선행연구를 토대로 필자가 재구성 함.


2. 장소자원 평가 선행연구의 의의와 연구의 한계


  가. 의의와 기여점


  그러나 이들 연구물들은 주로 지역개발을 경제적, 관광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어 지역 역사문화자원 개발과 역사문화자원의 가치를 진단, 평가, 개발할 수 있는 평가 툴은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이현식, 2004 ; 광주시, 2002) 문화지표와 문화정책지표 등은 일부 이루어졌으나 지역문화자원 평가지표 연구는 미비한 실정에 처해 있어, 바로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 것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자 연구의 출발점이다. 첫째, 자치단체대상 역사문화자원 평가지표 부재 및 둘째, 자치단체 장소자원으로서의 역사문화유산평가 지표의 부재가 그것이다.


  첫째, 광주문화지표의 부재의 예이다. 문화도시계획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목표에 적합한 문화지표를 개발하고 이 지표에 따라 목표를 구체화하며, 실제의 문화조사를 통해 계획의 추진상황을 수시로 체크하여야 한다. 광주의 경우 아직 도시적 특성이나 문화도시 만들기를 위한 문화지표가 개발되지 않았으며, 문화지표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광주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예향”의 경우도 그것을 실증하는 지표에 의해 검증된 것은 아니다.(광주시, 2002) 문화지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표, 시회지표 체계 내의 문화지표와 독립적인 문화지표로 구별된다. 한국에서 사회지표조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78년에 성안하여 통계보고서로 작성하고 있는데, 1987년부터 문화여가부문의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독자적인 문화통계 및 지표체계는 유네스코와 문화예술진흥원에 의해 1986년에 개발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문체부와 한국문화정책개발연구원이 1989년에 문화예술통계를 발간하기 시작했다. 이후 동개발원과 서울시정개발원 등에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이런 지표들은 현재의 광주 문화예술의 실태 및 정책의 평가 및 새로운 장기발전계획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지만, 시민적 문화욕구 조사에 근거한 것이 아니어서 근거가 불명확하고, 특히 예산액 목표는 잘못 산정되어 있다. 현재 광주시 통계연보에는 용도지역이나 공원, 문화시설, 문화재, 체육시설, 문화예술단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문화지표는 문화도시 만들기에 참고해야 하나 본격적인 정책 개발과 평가 지표로는 미흡하며, 따라서 독자적인 지표 개발과 이를 활용한 주기적 문화지표 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아직도 지방의 입장에서 지방역사 문화자원을 평가하고 개발할 수 있는 계량적인 지표개발은 이루어지지 못한 현실이다.(이현식, 2004) 따라서 지방역사문화자원을 잠재자원으로 개발할 수 있는 지역적 문화지표개발이 요청되는 것이다.


  나. 연구의 한계와 연구문제


  농촌의 장소자산은 농촌지역주민들을 위한 개발, 개발을 통한 이익이 지역주민에게 돌아갈 수 있는 계획, 생태, 문화자원의 보전, 개발 등 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농촌지역 활성화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에 따라 농촌 지역자원의 중요성과 자원의 효율적인 지역자원 체크리스트를 토대로 한 자원평가 툴(tool)이 요구된다.

  평가 툴은 주민참여에 의한 개발, 지리적 여건에 부합한 평가 항목개발, 자원 DB화를 통한 자원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한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박창원외, 2004 : 17)

  첫째, 우리문화 역사마을 만들기는 새로운 역사문화자원 평가 지표개발을 요구한다. 지역의 장소자원으로서의 역사문화 환경은 일상생활, 문화예술 환경 등이 오랜 시간 존속되어 역사문화적인 의미를 획득한 환경이다. 역사문화 자원의 대상은 문화유적, 역사도시나 마을, 전통문화 창작시설 및 전수시설 등을 포함한다.(이흥재, 2002 ; 한국문화정책연구원, 2003 ;  http://culture.kctpi.re.kr 2006.8 검색)

  둘째, 지역 자원 가꾸기의 원칙으로 “지켜야 할 것 찾기”에서 역사적 맥락을 보호하고, 가꾸기의 보존과 방법의 선택 및 가꾸기 실행과 역사문화 자원의 활용이다. 여기에서는 지켜야 할 것 찾기에서 선정된 역사문화 자원의 평가 툴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각 부처별 지원목적과 평가기준이 달라 지역실정에 적합한 평가지표가 개발되어 있지 못하여 기초자치단체 역사문화자원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평가지표가 요구된다.(이용균, 2005 ; 이희연, 2004)


3. 분석의 틀


  최수명 외(1999 : 33)는 지역 문화적 요소를 첫째, 무형문화자원(전통예술, 공예, 마을 공동행사, 전통적 제도, 관습) 둘째, 유형문화자원(문화재, 문화시설, 향교, 사당, 전통가옥) 셋째, 기타 문화자원(오솔길, 물레방아, 민간신앙, 지역특산물)으로 구분한다. 서인원(2003 :   39-48)은 지역 전통문화 자원을 문화재, 박물관 및 전시관, 전통사찰, 향교 및 서원으로 구분하고 관광 상품으로 지역 특산품과 향토음식을 들고 있다.


  여기에서는 지역 역사문화자원 평가요소를 1) 무형문화 자원 2) 유형문화자원 3) 종교 및 사적 시설 4) 기타 문화자원 및 5) 체험문화 자원 등으로 구분한다.(박창원외: 13; 박은식외 : 41 ; 전영미 외 : 61) 첫째, 무형문화 자원은 정통예술, 공예 등을 둘째, 유형문화 자원은 작종의 문화재와 시설 등을(박창원외 : 13), 셋째, 종교 및 사적 시설 자원은 종교 유적지와 전통구조물 등(한경수, 1999), 넷째, 기타 문화자원은 각 지방의 토속음식이나 특산품 등을(최수명외), 다섯째, 문화체험자원은 주로 전통음식과 놀이 등의 체험자원이다. 문화체험거리로서의 음식과 놀이 등의 자원이다. 지역 전통문화 자원 중 문화생활 체험거리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여기서는 전통음식과 전통놀이 체험으로 구분한다.(박은식외 : 41 ; 전영미 외 : 61) 이상 지방 역사문화 자원의 분류를 5가지로 나누고 <표 3 >에 예시한다.


< 표 3 > 지역 역사문화 자원 분석의 틀

자원 분류

지역 역사문화 자원분류 지표

역사문화 자원 평가 지수

지방 역사문화 자원

무형문화 자원

 

유형문화 자원

 

종교 및 사적 자원

 

기타 문화자원

 

문화체험 자원

 


 

Ⅳ. 농촌지역 장소자원 평가 툴 모형 개발


1. 지역의 역사문화 자원 평가요소


가. 역사문화 자원 분류


  박창원외(2004 : 14)는 농촌지역 특성화자원으로 7대 분류 및 역사문화자원을 4가지로 분류하여 사례지구에 적용한 바 있다.(<표 4 > 참조)


  7대 분류 지표는 첫째, 자연자원 둘째, 생활환경 자원 셋째, 농, 어업자원 넷째, 관광자원 다섯째, 역사문화 자원 여섯째, 경관자원 일곱째, 사회적 자원이다.

  여기에서 역사문화 자원은 다시 1) 역사적 자원 2) 향토자원 3) 문화재 4) 전통구조물 등으로 구분하며 평가항목은 < 표 4 >과 같다.

.

< 표 4  > 역사문화 자원 평가 툴 모형

분야

대분류

중분류

평가 항목

지방의 특성화자원

역사문화 자원

역사자원

마을연혁, 선사유적, 전통음악, 인물, 교육시설 등

향토자원

향토음식, 유명인사 배출, 전통풍습, 전통행사

문화재

법정문화재 현황, 관리상태

전통 구조물

정자, 누각, 전통상징물(장승, 표석 등), 종교시설, 교육시설


박창원외.(2004 : 13)


나. 농촌지역의 어메니티 평가 지표


  일본의 AMR(Amenity Meeting Room)은 농촌 지역개발을 위한 추상적 개념을 평가할 수 있도록 고안한 지표이다.(서교외, 2003) 이 지표체계는 생명안전, 자연, 역사문화, 미적, 편리, 개성종합으로 분류된다.(사카이겐이치, 1998 ; 서교 외, 2003)

  이 중 역사문화지표(서교 외 : 51)는 1) 역사(사적지 면적, 문화재수 등) 2) 체육(시설기준) 3) 문화 공간 4) 보육 및 교육시설 등이다.


다. 장소자원 요소분류


  이용균은 장소자산요소를 4가지 관점, 곧 자연환경, 문화, 사회경제, 제도로 분류한다.  첫째, 자연환경은 산, 하천 등을 둘째, 문화부문은 전통문화재, 문화 축제 등을, 셋째, 사회경제 부문은 전시관, 박물관 등 넷째, 제도 부문은 비가시적인 정체성, 인지도, 역사적 소명 사항 등이다.(이용균 : 58)


라. 지역문화 가꾸기


  지역자원 진단의 지표 분류 중 전통문화 환경의 진단대상으로는, 민속마을과 전통마을, 문화민속자원보존지구 및 역사문화미관지구, 문화재보호구역 및 근, 현대건축물, 사찰, 성당, 교회 등 오래된 종교시설, 문화예술인 창작, 교육 공간, 예술인 창작물 관련 유산(생가, 창작지역 등) 예컨대 역사문화자원의 주요 소재는 기존자료의 활용, 다양한 소재의 접목으로서 과거역사의 지적인 자산이나 유산, 공간적 위치에 관련된 모든 정보와 이와 관련된 속성, 지역사회에 관련된 새로운 연구결과와 새로운 사실, 지역의 고유한 정보와 각종 생활상, 원형자료(유적, 유물, 문서 등)발굴 이외에 최근 문화 작품, 논문, 언론매체 등에서 제시된 자료, 전통문화를 보전하면서 미래문화를 창조, 주요 역사문화 자원의 복원, 재현, 보존 등과 함께 현재적 가치와 창조의 부분을 중시한다.(이흥재, 2002; 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3)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각 지역의 실질적 문화자치를 확립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지역문화 자산 중 전통문화 환경 진단항목과 세부항목을 4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 표 5 >에 제시한다.  

< 표 5 > 지역 문화자산 평가항목

지역 역사문화 자산 진단 항목

세부 항목(전통문화 환경)

시설 및 공간

문화재 보존, 건물 및 시설

공간구조, 관리 및 운영

장소 및 경관

입지의 적합성, 접근성

주변 경관과의 조화, 디자인

문화향유 및 문화 복지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이용

광고 및 홍보, 이용자 배려


자료 : 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3). 『문화환경가꾸기 매뉴얼 모니터링 체크리스트』 참조 재구성


2. 지역 역사문화 자원 발굴과 평가의 기준


가. 지역 농촌 장소자원 발굴방법


  먼저 농촌장소자산 발굴방법의 하나로서 SWOT 분석을 토대로 지역 유, 무형 자원 발굴, 평가, 마케팅이 가능한 장소자산 발굴이 요구된다. 예컨대 농촌장소자산을 몇 가지 분야로 구분(선행연구), 그의 강점, 약점과 기회, 위협 요인으로 구분하고 마케팅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 그것이다.


나. 역사문화 자원 평가의 기준


  문화자원의 기준으로 4가지 고유성, 인지도, 경쟁성, 지속 개발성을 들 수 있다.(이희연, 2004 : 47-48 ; 이용균, 2005 : 57) 첫째, 고유성이란 발굴자산이 타 지역과 비교하여 얼마만큼 장소적 고유성을 반영할 수 있는가를 리커트척도로 평가한다. 둘째, 인지도는 장소자산에 대해 지역 내, 외부인의 인지정도를 설문하여 평가한다. 셋째, 경쟁성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넷째, 지속개발성이란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통해 확인한다.(이용균 : 57)


3. 평가 툴 모형의 제안


  이상의 연구 결과들(이희연, 2004 ; 이용균, 2005 ; 박창원 외, 2004 : 13; 박은식 외, 2003 : 41 ; 전영미외, 2003 : 61 ; 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3 ; 이흥재, 2002 ;  최수명외, 1999 ; 한경수, 1999)을 토대로 하여 지방 농촌지역의 역사문화자원 개발을 위한 자원평가 기준과 지표, 지수 체계를 < 표 6 >에 예시한다.


< 표 6 > 농촌(기초자치단체) 역사문화 자원 평가기준과 지표개발 모형

(단위 : 개 또는 개소)

   지방문화

   자원 유형

역사문화 자원 평가지표 분류

평가 지수(예시)

무형문화자원

전통예술, 공예

전통예술

공예

마을행사

전통놀이

전통행사

마을제

전통제도, 관습

제도

관습

각종 축제

각종 축제

유형문화자원

각종 문화재

국보

보물

관리실태

문화 시설

공연장

역사자원

마을연혁

선사유적

전통음악

역사적 인물

종교 및 사적 자원

종교 유적지

종교시설

전통 구조물

향교

사당

정자

누각

장승이나 표석

기타문화자원

선술집

선술집 등

물방아

물방아 등

오솔길

오솔길 등

민간 신앙

민간신앙

향토음식

전통음식

건강식품

지역 특산품

농산물

수산물

해산물

문화체험 자원

음식 체험

먹기 체험

만들기 체험

놀이 체험

활쏘기, 씨름 등

말타기, 제기차기 등

4. 발전적 과제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의 발전과제를 몇 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지역 역사문화 자원 평가 지표와 지수의 구체화, 검증작업(타당도, 신뢰도 검증)이 후속연구 과제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4)

  둘째, 본 연구는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한 도시지역 역사문화 지표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음식과 놀이문화 체험거리의 개발이다. 개발지표 중심으로 먹거리, 놀이체험 거리를 연계하는 방안, 곧 역사문화, 음식문화, 놀이문화를 보여 주고, 체험할 수 있는 자원 중심으로 개발하고 구조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지방 역사문화 자원 발굴 제안제도를 활성화하여 표창, 홍보하는 방안의 강구를 통하여 지역의 잠재자원 개발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새롭히는 일이다.

  다섯째, 분야별 전문가이드제도 도입이다. 예컨대 지역 역사문화 자원해설가, 음식, 놀이체험 활동 지도사 양성의 제도화 등을 통한 인력양성이 요구된다.


Ⅴ. 정책적 함의


  21세기 정보화, 지방화, 디지털 감성융합시대의 전개 속에 농촌은 위기와 함께 기회를 맞고 있다. 떠나가는 젊은이를 잡고, 외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주체적이고, 토속적인 지역 장소자산의 발굴과 개발을 통하여 매력 있는 지역(고향)만들기, 곧 지역의 특성화, 차별화가 요구된다.

  특색있는 지역 만들기는 환경, 생태, 문화, 복지적 측면의 대안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여기에서는 각 지방이 보유하고 있는 지역 역사문화 잠재자원을 중심으로 그 발전대안을 지역 역사문화 특성화 요인을 대상으로 한 장소자원 개발 평가 툴을 개발하였다. 우선 선행연구의 한계를 중심으로 농촌지역(기초자치단체)관점에서 잠재자원 평가 툴 부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그 극복을 위한 새로운 장소자원 평가 요인과 도구를 개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책적 시사점을 몇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첫째, 평가도구의 내용적 측면이다. 구체적인 지역 문화자원 개발의 평가수단으로서 발굴 대상 분야, 평가기준, 평가항목 및 발전과제들을 세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중앙정부의 지역 정책적 측면에서 보면 지역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가 된다. 예컨대 문광부나, 기타 중앙부처의 역사문화 마을 지원의 확대, 또는 기초단위 지원으로 전환을 검토한다. 중앙부처의 비체계적 지원 다원화와 난립도 문제거리이다. 역사문화 자원의 경우 문화관광부와 건교부 등이 주무부처로 지원함이 요구된다.

  셋째, 지방정부 입장 측면이다. 지역사회의 관점에서 상호의사 교환, 전략 공유자의 역할 및 지방기록물 자원의 확보와 보존 등과 관련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과의 협조가 요구된다. 즉, 지방기록물이나 유적, 유물 등의 기록 보존화를 위해 국가기록원과의 협력으로 시너지효과를 얻는다.

  넷째, 구체적인 제도적 지원책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적극 반영하도록 한다. 예컨대 목포시의 경우 “목포시 경관관리조례” 또는 기타 지역의 “역사문화 보존 조례” 등의 조례에서 지방의 움직임이 태동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한 도시지역 역사문화 지표 개발, 지방 역사문화 자원 발굴 제안제도를 활성화 및 분야별 전문가이드, 예컨대 지역 역사문화 자원해설가, 음식, 놀이 체험 활동지도사 양성의 제도화 등이 요구된다.

참 고 문 헌


강신겸.(2005). “농촌관광과 감성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http://serieco@seri.org)

강원개발연구원.(1996).『지역별 자원실태 및 성장잠재력 분석 : 관광자원을 중심으로』강          원개발연구원, 5.

국토연구원.(2003).『장소판촉적 지역발전을 위한 장소자산 형성에 관한 연구』국토연구원.

광주광역시.(2002). 『빛과 생명의 문화 광주 2020 기본계획』

김현호.(2003). “장소판촉적 지역발전을 위한 장소자산형성에 관한 연구,”『국토연구』제          6권, 3.

김현호⋅한표환.(2004.12). 『지역발전을 위한 향토자원의 개발 및 활용방안』한국지방행정         연구원.

김현호.(2002). “장소판촉과 장소자산,”『공간과 사회』제17호, 6월

고선영.(2006). “장소자산에 기반한 농총체험 관광마을의 유형화 : 경기도 4개 마을을 사례          로,” (서울 : 서울대학교 지리학박사학위논문).

김태환 외.(2004).『자립적 지역발전을 위한 잠재력분석연구 1』국토연구원.

-------.(2005).『자립적 지역발전을 위한 잠재력분석연구 2: 지역의 제도적 역량 및 조직          화 능력을 중심으로』국토연구원.

문국현.(2005). “농촌문화자연유산 지킴이 운동과 농촌지역 활성화,” 『지역의 희망찾기』             (재)지역재단. 4.

문화관광부.(2006.4). 『2005 문화정책백서』

박  경.(2006.7). “우리나라 농촌지역에 있어서 혁신과 주민참여,”『지역혁신과 NGO 역할          』 한국 NGO학회.

박은식, 박덕병, 이한기.(2003).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전통생활문화 프로그램 개발에 관          한 연구,”『농촌계획』제9권 제1호, 한국농촌계획학회, 2월.

박창원, 권혁정, 주경로.(2004). “농촌마을 개발방향 설정을 위한 자원평가기법 연구,”『농         촌계획』제10권 제1호, 한국농촌계획학회.

백선혜.(2004).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         박사학위논문)

서교, 이지민, 김한중, 정남수, 조순재, 이정래.(2003). “농촌의 잠재적 가치에 의한 농촌지         역개발 평가지표 연구,”『농촌계획』제9권 제1호, 한국농촌계획학회.

서인원.(2003).『경북지역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 역사문화형 테마파크를 활용하자』          대구경북개발원.

이은영, 이옥연, 이태현.(2005).『도시성장잠재력 분석 및 지표 개발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          로』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서울특별시.(2006.3).『세계 일류도시를 향한 꿈, 서울을 보면 우리의 미래가 보인다』

오창섭.(1997). “역사도시 문화재 정책의 평가지표체계 연구,”『논문집』제11권, 경주전문대         학 : 191-209.

유승권.(2006). 『도시마케팅의 이해』한솜 미디어.

윤원근, 김진경.(2005). “농촌개발사업에 대한  평가기준의 설정과 적용사례,”『농촌자원과          생활』여름호.

이무용.(2005). “장소마케팅전략의 해외 사례,”『자치발전』제11권 제2호, 2. 

-----.(2006).『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전략』논형.

이상윤⋅이종수.(2006). 『21세기 지방자치와 지역문화』대왕사.

이용균.(2005). “경기남동부지역의 장소자산의 특성파악과 장소마케팅 추진 전략,”『한국도          시지리학회지』제8권 제2호, 한국도시지리학회, 8.

이종수.(2003).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의 지역문화적 접근”,『중앙행정논집』제17권 제1호,          중앙행정학회.

-----.(2003.12). “전라남도 문화 관광정책의 중⋅장기 특성화 방안,”『한국거버넌스학회           보』제10권, 한국거버넌스학회.

-----.(2004.1), “지역 전통음식 상품화와 국제화 전략,”『우리문화』제168호.

-----.(2006.8). “공공행정 조직문화 측정지표 연구의 이론적 접근,”『하계학술대회논문            집』 한국지방자치학회.

이현식.(2004.2). “지역분권화와 지역문화, 인천” 『월간 민족예술』

이흥재.(2001). “도시와 장소판촉,”『도시문제』9.

-----.(2002). “우리문화 역사마을 만들기 의의와 과제,”『문화관광』제133호, 한국문화관          광정책연구원.

이희연.(2005.8). “세계화시대의 지역연구에서 장소마케팅의 의의와 활성화 방안,”『한국도          시지리학회지』제8권 제2호, 한국도시지리학회 : 35-53.

전영미, 임상봉, 한경수외.(2003). “도시민의 선호를 바탕으로 한 농촌마을의 관광자원 실태          와 정비 방향,”『농촌계획 』제9권 제1호, 한국농촌계획학회.

정기용.(2005). “지역 활성화를 위한 문화적 방법 서설,”『지역의 희망찾기』(재)지역재단.

최막중⋅김미옥.(2001).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 분석: 대학로와 로          데오거리를 중심으로,”『국토계획』제36권 제2호.

최수명, 한경수, 황한철.(1999). “농촌계획 지원용 지역자원평가시스템(Ⅳ),”『농촌계획』제          5권 제1호, 한국농촌계획학회.

한경수.(1999). “농촌 마을 수준의 지역자원 평가시스템 개발,” (광주 : 전남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황태규⋅김형남.(2005). 『국토 이노베이션시대가 열린다』문화유람.

황한철⋅김정식.(2002). “농촌마을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어메니티 지표설정,”『한국농촌계          획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한국농촌계획학회.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3).『문화환경가꾸기 매뉴얼 모니터링 체크리스트』

       (http://culture.kctpi.re.kr/village, 2006.8.)

Jenkins, R.(1996). Social Identity, (London : Routlege).

Kotler,P. Haider, D.H. & Reing,I.(1993), Marketing Places : Attracting Investment,             Industry,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 (The Free Press :               Macmillan, Inc.,).

Morgan, N. & A. Pritchard.(2002). Contextualizing destination branding, in Morgan,            N. Pritchard and Roger Pride, eds., Destination Branding: creating the               unique destination  proposition, (Butterworth/Heinemann).

Philo, C. & Kearns, G.(1993), "Culture, History, Capital: A Critical Introduction to             the Selling of Places," Selling the Places : 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ast and Present, (Pergamon Press).

Sharpe.L.J.(1979). Decentralist Trends in Western Democracies, (London :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