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2022년 4월 15일, 한국정책학회 발제문임. 인용을 금지함. 三峯 仁君制度의 現代的 示唆点 이종수(전, 중앙대) - 목 차 - Ⅰ. 들어가는 글 Ⅱ. 삼봉 仁君제도의 이론적 접근 Ⅲ. 조선전기 인군제도 내용 분석 Ⅳ. 인군제도의 정치행정적 시사점 Ⅴ. 나가는 글 Ⅰ. 들어가는 글 본 연구는 삼봉의 仁君(임금, 王)제도적 근거, 사상, 구조 등의 이론적 토대였던 『朝鮮經國典』, 『經濟文鑑』, 『經濟文鑑別集』의 내용 및 그 법제화인 『經國大典』 규정과 조선 초기 의정부 집행사례를 『실록』에서 찾아 결과를 분석하고, 현대적 仁君(暴君)시사점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문제는 臣權(의정부 등)의 仁君만들기(격군과 군도) 효과성 유무 확인과 시사점 등을 修己와 治人적 측면의 사례분석을 중심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