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22.8월 한국해양인문학자학술대회 발표문임. 인용을 금지함. 13세기 탐라와 몽골의 음식문화 □ 들어가는 글 이 글에서는 대원제국(이하 몽골과 혼용) 문화가 탐라지역 음식문화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고찰하고, 탐라(이하 제주와 혼용) 식문화가 주체적으로 변용시키면서 생존을 유지시켜 온 변동 과정을 찾아 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고려시대 탐라는 몽골의 직접 지배기간이 가장 길었으며, 그들이 직접 관료를 파견하여 지배하므로서 타 지역에 비하여 몽골문화가 가시적으로 남아 있는 지역이기도 한다. 예컨대 1276년 탐라 다루가치가 둔전병(屯田兵)과 주민에게 호마, 우량소 목장을 개설하여 사육하게 하였다(이성우, 1984 : 31). 주요 연구문제는 어떻게 해서 게데스가 순대(김천호, 2012), 수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