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0

2022 이재명후보 청년공약 효과성

2022 이재명후보 청년공약 효과성 이종수(전, 중앙대) 〇 2022년 현재의 2030세대는 18살부터 23살까지는 대통령 선거 투표에 처음 참여하는 새로운 유권자임. 〇 관심 무관심 혐오점으로는 MZ세대(밀레니엄, Z세대)의 특성은 중도와 무당층. 부동산(아파트)정책에 관심. 2020년 총선 참여율을 66.2%. 20대(전) 60.9%, 20대(후) 56.7%, 30대(전) 56.5%, 30대(후) 57.6% 등. 〇 世人은 2030이 이념이 아니라 이익에 따라 움직임. 〇 이 세대 가구가 자기 집을 가진 비율, 17.3%. 계속 하락 중. 일자리를 찾다 포기한 구직 단념자는 역대 최대치이고, 그나마 구한 첫 일자리, 계약직인 비율이 절반. 〇 사회 갈등을 보는 시각도 갈등 요인으로 20대는 남녀 간 ..

카테고리 없음 2022.02.21

정도전 총재(재상)제도 분석의 시사점

이 논문은 2022.2.18일,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숟대회 발제문임. 인용을 금지함. 鄭道傳 冢宰(宰相)制度 分析의 示唆点 이종수(전, 중앙대) - 목 차 - Ⅰ. 서 론 Ⅱ. 宰相(冢宰)의 제도적 접근 Ⅲ. 삼봉의 재상제도 운용 분석 Ⅳ. 주요 시사점과 현대적 활용 Ⅴ. 결 론 참고문헌 Ⅰ. 서 론 본 연구는 삼봉의 冢宰(宰相, 臣權)제도적 근거, 사상, 구조 등의 이론적 토대였던 『朝鮮經國典』, 『經濟文鑑』의 내용 및 그 법제화인 『經國大典』 규정과 조선 초기 의정부 집행사례, 결과를 『實錄』을 중심으로 분석(이종수, 2019, 2020, 2021)하고, 현대적 시사점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의정부서사제(議政府署事制), 三政丞들의 육조업무 심의 후 임금에게 보고하던 제도였다. 육조를 강화하려는 ..

카테고리 없음 2022.02.09

2022 대선후보 청년공약 비교분석

이 글은 2022.2.17일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술대회 발제문임. 인용을 금지함. 2022 대선후보 청년공약 비교분석 20∼30대 유권자를 중심으로 - 이종수(전, 중앙대 연구교수) Ⅰ. 서론 2022 대선전략의 논의의 출발점은 기후변화, 일자리, 소득 불공정, 서민주거(매니페스토실천본부, 2021.12) 및 부동산, 지방소멸, 기후변화, 디지털정책, 교육개편 등이며, 2022 국정과제는 책임성, 공정성, 지속가능성, 효율성 등으로 조사됐다(한국행정학회, 2021.12). 대선의 지향점은 공정성, 공평성이며, 한계에 이른 삼권분립의 극복과 공정, 공평한 민본주의의 완성을 위한 공약의 이론적 접근은 전국시대 상앙의 “世事變而行道異”(이종수, 『블록체인 도시행정』(2019), 『블록체인 인공지능 융합행정』..

카테고리 없음 2022.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