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봉의 인군제도 분석
이 글은 2021.12월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제문임. 무단 인용을 금함. 三峯의 仁君제도 분석 이종수(전, 중앙대) Ⅰ. 들어가는 글 본 연구는 삼봉의 仁君(임금, 王)제도적 근거, 사상, 구조 등의 이론적 토대였던 『朝鮮經國典』, 『經濟文鑑』, 『經濟文鑑別集』의 내용 및 그 법제화인 『經國大典』 규정과 조선 초기 의정부 집행사례를 『실록』에서 찾아 결과를 분석하고, 현대적 시사점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군주(인군) 개념과 출처, 상징적 존재 이유, 仁君과 의정부 주요 처결 사항, 임금과 經筵관계, 경연내용, 관계 시사점 탐색, 군주의 윤집궐중(允執厥中)(김인호, 2005 : 279 ; 서정화, 이종수, 2019), 군주의 도덕적 완성(민병학 외, 2002 ; 김인호, 2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