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0

정도전과 김재규의 혁명정신 비교분석

이글의 인용을 금지함. 정도전과 김재규의 혁명정신 비교분석 이종수(중원대) □ 연구의 목적, 필요성 ◌ 조선 창업의 주역 삼봉 정도전의 성리학(주자학)과 혁명정신(觀, 思想)의 정치, 행정철학적 배경, 내용, 결과 및 김재규의 10.26 독재항거 정신과 현대적 의의를 4차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시대 대응을 위한 시대문제 해결과 창조적 적용방안을 조명해 보고자 함. ◌ 본 연구는 이 두 사람의 사상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적 선비정신원류와 비교, 주요 교육문화적 시사점과 현대적 계승점을 찾고자 함. ◌ 삼국시대 이래 우리나라 역사상 꺼져가는 고려, 불교의 폐단 종식자 삼봉 정도전과 유신 18년 장기 독재자 박정희를 살해하여 유신을 종식시킨 김재규만큼 과단성있는 인물도 찾기 어려움. ◌ 4차산업혁명시대의 융합사상적..

카테고리 없음 2020.10.24

Covid-19 & AI·블록체인 융합정부

이 글은 필자의 2020.8월 칼럼임. 무단 인용을 금함. Covid-19 & AI·블록체인 융합정부 인류 최대의 위험변수 중의 하나가 Covid-19위협이며, 동시에 최고의 기술적 개가가 AI & 블록체인 융합기술이기도 하다. 그런 한편 질병위협과 기술적 개가를 지속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성장요인이 비대면 디지털사업과 바이오산업이다. 본 고는 추후 10여 년 전후(2020∼2030) 미래정부가 추진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로 디지털사회 안전장치 제도화, 블록체인 정부제도화 및 지속성장 등으로 요약하여 그 대응책을 분석한다. 첫째, Post covid-19 일상화(특성)은 이동 불가, 격리, 셧다운, 의료시스템 붕괴, 원격 업무, 기후 환경 등의 현상 등으로, 인류는 코로나로 생가의 기로에 직면하였다. ..

카테고리 없음 2020.08.09

정도전의 臺諫(兩司)제도 집행사례 분석

이 논문은 2020년 8월 한국지방자치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문임. 무단 인용을 금함. 정도전의 臺諫(兩司)제도 집행사례 분석 이종수(중원대) Ⅰ. 서 론 본 고의 연구목적은 조선 전기 삼봉 鄭道傳 『朝鮮經國典』 통치철학의 주요한 한 축이었던 王權과 臣權의 제도적 견제책이었던 臺諫(兩司)의 견제와 균형 효과를 분석하고 감사제도적 견제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과제의 연구목적은 여말 선초 삼봉 정도전 『朝鮮經國典』, 『經濟文鑑』 통치철학의 주요한 한 축이었던 왕권과 신권의 제도적 견제책이었던 臺諫(兩司)의 견제와 균형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필요성은 인공지능시대의 정부권력의 주체 간 견제사례와 주요 효과, 한계, 극복방안을 찾아 현대적 시사점과 제도화 방안을 제안함. 대통령제 절대권력을 견제하기..

카테고리 없음 2020.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