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정신과 풍류문화의 상관성」토론문 이 글은 2018년 10월 27일, 동양대 선비연구원 토론문임. 「선비정신과 풍류문화의 상관성」토론문 이종수(중앙대) Ⅰ. 토론 전제 토론은 발제문 내용을 중심으로 주로 한국적 관점에서(본문은 중국 중심) 몇 가지 느낌을 實用(사례와 현시대적 활용)이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시.. 카테고리 없음 2018.10.30
조선중기 관료병 스토리텔링 힐링사례 분석 이 글은 2015년 1월 한국국정관리학회 동계학술대회 발제문임. 무단인용을 금함. 조선 중기 관료병 스토리텔링 힐링 사례 분석 - 오리(梧里)의 부동심(不動心) 행정관을 중심으로 - 이 종 수(중앙대학교) - 目 次 - Ⅰ. 들어가는 글 Ⅱ. 조선 중기 관료병 사례분석의 의의 Ⅲ. 조선 중기 오리의.. 카테고리 없음 2018.10.30
미래의 국방정책 방향 : 영의정 이원익 국방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이글은 2018년 9월, 광운대 '선진국방연구' 창간호 게재본임. 무단 인용을 금함. 미래의 국방정책 방향 - 영의정 李元翼 국방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Ori's National Defense Policy Analysis 이종수(중앙대) < 국문 요약 > 이 글의 연구목적은 오리(梧里)의 국방정책 사례 분석을 통하여 兩難(壬亂과.. 카테고리 없음 2018.09.23
봉은 하안거 스토리텔링 이글은 봉은사 '봉은판전' 2018.8월 게재본임. 봉은 하안거 寶慧스토리텔링 이종수(중앙대 연구교수) 서울 강남의 봉은사 ‘좌선 제1도량 봉은 선원’ 은 추사체 대웅전과 판전, 미륵대불, 임진왜란 사명당의 ‘조일담화담판’ 등으로 유명한 도심 속의 유명사찰이다. 필자는 지난 2014년 겨.. 카테고리 없음 2018.09.12
우리 탕(湯)과 갈비문화 연원 분석 2018년 1월 12일, 한국문화정책학회 발제문임. 무단인용을 금함. 우리 탕(湯)과 갈비문화 연원 분석 Source Analysis of Tang(湯) & Galbi Culture of Korea - 近代의 한양과 수원을 중심으로 - 이종수(중앙대 연구교수) 이종수(중앙대 연구교수) - 目 次 - Ⅰ. 들어가는 글 Ⅱ. 음식문화 변동의 의의 Ⅲ. 탕과 .. 카테고리 없음 2018.08.20
수원, 개성, 서울의 탕 음식문화 융합스토리텔링 이 연구의 무단인용을 금함. 수원, 개성, 서울의 탕 음식문화 융합스토리텔링 Suwon, Gaeseong & Seoul's Tang(湯) Food Culture Fusion Storytelling 이종수(중앙대 연구교수) < 요약문 > 〇 4.27 남북회담, 6.12 북미 회담, 6.21 한러회담 등의 데탕트 물결 속에 국내, 외적으로는 핵시설 파괴, 비핵화 시동 .. 카테고리 없음 2018.08.13
'한국불교 중흥 ' 토론문 이 글은 2018년 8월, 한국교수불자연합회 경주대회 발제문임. 무단인용을 금함. ‘한국불교 중흥’ 토론문 이종수(서울대 총동창신문 논설위원) 들어가는 글 2018년 현재 세계 인구는 약 65억여 명이며, 2017년 현재 세계 최대 종교는 기독교로 전 세계 기독교인(24억 7천만여 명)이 종교인 가.. 카테고리 없음 2018.08.11
개성과 서울의 탕 음식문화 융합스토리텔링 이 글의 무단인용을 금함. 개성과 서울의 탕 음식문화 융합스토리텔링 이종수(중앙대 연구교수) □ 연구배경과 필요성, 목적 〇 4.27 남북회담, 6.12 북미 회담, 6.21 한러회담 등의 데탕트 물결 속에 국내, 외적으로는 핵시설 파괴, 비핵화 시동 등과 남북 이산가족 상봉 등 군사 회담, 미국과.. 카테고리 없음 2018.07.28
봉은선원 신행 스토리텔링 '봉은판전' 제122호, 2017.12, 봉은사 : 40-41. 봉은선원 신행 스토리텔링 이종수(寶慧, 중앙대 연구교수) 이 글은 근래 봉은사(奉恩寺)에서 수계받기 전후의 이야기로 나누어 회상하고, 마음과 신행상의 변화를 몇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미래의 신행의 토대로 삼고자 하는 신행 스토리텔링 .. 카테고리 없음 2018.07.26
강화의 음식문화 이 글의 무단 인용을 금함. 江華의 음식문화 이종수(李宗秀) < 요약문 > 유사이래 강화도는 한반도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특히 고려시대는 몽골항쟁을 위하여 개경에서 강도로 천도하여 39년간 도읍지였다. 조선시대는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맞고, 조선 말기에는 병인양요와 신미.. 카테고리 없음 2018.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