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봉 '조선경국전'의 10차 개헌 시사점
三峰『朝鮮經國典』의 10次 改憲 示唆点 이종수(서울대 총동창신문 논설위원) - 목 차 - Ⅰ. 서 론 Ⅱ.『朝鮮經國典』의 의의와 구조 Ⅲ.『朝鮮經國典』의 독창성과 영향 Ⅳ.『朝鮮經國典』의 제10차 개헌 시사점 Ⅴ. 결 론 참고문헌 Ⅰ. 서 론 조선창업 사상을『朝鮮經國典』에 담은 삼봉의 국가제도를 정초한 지혜와 시사점을 民本思想과 제도적 왕권 견제책인 臺諫制度(司諫院 등) 및 반 자율적 주민통제 제도인 鄕憲 등의 제도형성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삼봉 정도전(1342-1398)의 권력제도의 근원은 민본(民惟邦本)에서 유래했다(진희권, 2004 : 68 ; 이종수, 2014 : 121). 삼봉은 백성, 국가, 군주의 순으로 그 중요성을 자리매김한다(한영우, 1972 : 788). 그의 사상의 맹아에는 백성을 가..